중국어선들 싹쓸이 조업 탓도
서해 북방한계선(NLL) 남쪽 해상의 중국 어선 불법 조업과 개체 수 감소 등의 영향으로 올해 꽃게 어획량이 지난해보다 70% 가까이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해양수산부 자료를 보면, 지난 4월 꽃게 어획량은 575t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9% 급감했다. 1~4월 누적 꽃게 어획량 역시 664t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2107t)의 3분의 1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꽃게 어획량은 직전 해에 산란해서 부화한 어린 꽃게 개체 수(자원량)에 큰 영향을 받는데, 지난해 인천 해역 어린 꽃게 자원량(1만5천여t)이 2013년의 절반에 그친 탓에 올해 어획량도 급감했다는 게 해수부의 설명이다. 중국 어선의 불법 조업 영향도 컸다는 지적이 나온다. 연평도 인근 해역은 민물과 바닷물이 만나는 탓에 모래톱이 많아 플랑크톤이 풍부하고 꽃게가 서식하기에 최적의 환경을 갖고 있다. 하지만 중국 어선들이 아예 이 일대 어장을 싹쓸이하다시피 불법 조업을 일삼다 보니 어린 꽃게까지 씨가 말랐다는 게 어민들의 주장이다.
김소연 기자 dand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