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기업들이 수익성·성장성과 같은 기업 경쟁력에서 이미 한국 기업들을 상당 부분 추월해, 중국이 한국을 추격한다는 말도 이미 흘러간 얘기가 된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원장 권태신)은 5일 ‘한-중 양국의 기업 경쟁력 분석’ 보고서에서 2007~2014년 한국과 중국의 비금융 상장기업의 경쟁력을 비교분석한 결과, 중국 기업들이 2014년 기준으로 수익성(영업이익률), 성장성(매출액 증가율), 자산 규모, 특허 출원 수, 해외 기업 인수·합병 금액 등 5개 지표에서 한국 쪽보다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중국 기업들의 영업이익률은 7.28%로 한국(2.42%)의 3배에 달했다. 매출액 증가율도 중국이 7.66%로 한국(3.39%)의 2.3배다. 평균 해외 인수·합병 금액은 중국이 700만달러로 한국(228만달러)의 3.1배에 달했다. 특히 평균 자산 규모는 중국 기업들이 2007년에는 한국 기업들의 55% 수준이었으나 2014년에는 한국의 103%로 추월했다. 반면 한국 기업들이 2007년 이후 지금까지 계속 우위를 지키고 있는 분야는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 해외 매출 비중, 노동생산성 등 3개 지표에 그쳤다.
전체 상장기업이 아닌 30대 기업의 경우 상대적으로 사정이 나은 편으로, 한국이 2014년 기준 평균 자산 규모,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 평균 특허 건수, 해외 매출 비중, 노동생산성 등 5개 지표에서 우위를 보였다. 중국 쪽은 영업이익률, 매출액 증가율, 평균 해외 기업 인수·합병 금액 등 3개 지표에서 한국보다 뛰어났다. 한경연은 “한국의 30대 기업이 우위를 보이는 영역에서도 중국의 30대 기업과의 격차가 점차 줄어들고 있다”고 진단했다.
한·중 상장기업들을 기술 수준별로 나눠서 경쟁력을 분석하면 저기술 기업의 경우 중국 기업들의 우위 분야가 2007년 6개에서 2014년 7개로 늘었다. 한국이 우위를 보인 분야는 노동생산성이 유일했다. 중기술 기업의 경우도 중국 기업들의 우위 분야가 2007년 4개에서 2014년 6개로 확대됐다. 한국 기업들의 우위 분야는 해외 매출 비중과 노동생산성에 그쳤다. 고기술 기업의 경우는 2007년에는 한국의 우위 분야가 5개로 중국(3개)보다 많았으나, 2014년에는 한·중 우위 분야가 각각 4개로 같아졌다. 한경연은 “전체적으로 볼 때 저기술 및 중기술 분야는 중국 기업들이 한국에 앞서고, 고기술 분야는 한국과 중국이 치열하게 경합하는 양상”이라고 분석했다.
곽정수 선임기자
jskwak@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