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용화 가능성 높은 서비스 사업 대상
내년부터 상용화 가능성이 높은 서비스 사업 아이디어를 제안해 공모에 당선된 기업에게 연구비의 50~80%까지 지원하는 ‘서비스 연구개발(R&D) 바우처’ 제도가 시행된다.
기획재정부는 5일 ‘서비스경제 발전전략’ 발표를 통해 “기업은 정부가 지원한 서비스 연구개발 바우처에 자체 기금을 더해 자신에게 맞는 대학이나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의 연구개발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게 된다”며 “기업 규모에 따라 최대 6억원까지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공모에 선정된 기업이 자체 경비로 서비스 연구개발을 진행해 성과가 있을 경우에도 지원을 받을 수 있다. 기재부는 “기업이 개발한 새로운 서비스나 비즈니스 모델의 상용화 가능성, 참신성 등을 검토해 자금을 지급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렇게 개발된 연구개발 성과물을 보호하는 방안도 마련됐다. 정부는 관광이나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등의 민간 협회가 자율규약을 통해 혁신적 서비스에 대해 일정 기간(6개월~1년) 해당 기업에 사용권을 우선 부여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독일도 상업화 가능성이 높은 서비스 연구개발 성과물에 대해 2년 동안 우선권을 부여하고 있다. 김소연 기자 dand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