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등 대기중 오염물질을 줄이기 위해 2018년부터 2025년까지 8기의 석탄화력발전소가 폐쇄되고, 2기는 석탄 사용을 중단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6일 서울 더팔래스호텔에서 ‘석탄화력발전 대책회의’를 열고 전체 53기의 석탄화력발전소 가운데 30년이 지난 10기의 가동을 중단하기로 확정했다. 이번 결정은 6월3일 정부가 발표한 ‘미세먼지 관리 특별대책’에 따른 것이다.
가동한 지 30년이 넘은 석탄화력발전소 가운데 충남 서천화력 1·2호기는 2018년, 경남 고성 삼천포화력 1·2호기는 2020년, 전남 여수 호남화력 1·2호기는 2021년, 충남 보령화력 1·2호기는 2025년 각각 폐쇄한다. 강원 강릉의 영동화력 1·2호기는 폐쇄하는 대신 2017년부터 연료를 석탄에서 바이오매스(유기 폐기물)로 교체한다. 이들 10개 석탄화력발전소의 전기 생산 용량은 330만㎾다.
또 20년 이상~30년 미만의 석탄화력발전소 8기는 성능을 개선하고 환경 설비를 교체해 오염물질 배출을 줄인다. 20년 미만의 35기는 2019년까지 2400억원을 투자해 탈황·탈질소 설비를 보강하고, 20년이 될 때 고강도 성능 개선을 한다. 특히 석탄화력발전소가 밀집한 충남에서는 다른 지역보다 더 낮은 대기중 오염물질 목표를 마련해 환경 설비를 보강한다.
현재 건설중인 20기의 석탄화력발전소 가운데 공정률이 90% 이상인 11기는 다른 발전소보다 2~3배 강화된 오염물질 기준을 적용하고, 2030년까지 오염물질 배출량을 40% 더 줄인다. 공정률 10% 이하의 9기는 세계 최고 수준의 환경 설비를 갖춘 영흥화력발전소의 배출 기준을 적용한다.
이와 함께 새 석탄화력발전소는 원칙적으로 건설을 금지하고, 증가하는 전력 수요는 저탄소, 친환경 전력으로 충당한다. 또 석탄화력발전소에서 생산한 전력 가운데 유휴 전력의 전력거래소 판매를 금지하기로 했다. 중장기적으로 석탄화력발전소의 발전량을 축소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이번 대책에는 2030년까지 10조원이 투자된다. 이 대책은 2015년 기준으로 2030년까지 미세먼지 24%(6만6천t), 황산화물 16%(1만1천t), 질소산화물 57%(5만8천t)를 감축하는 것이 목표다.
김규원 기자
ch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