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경제일반

고시생들이 꾸는 공무원의 삶, “칼퇴근!”

등록 2016-07-07 11:48수정 2016-07-07 13:53

[더불어 행복한 세상] 좋은 일자리 프로젝트

공무원 수험생 317명 설문
36%가 “9시 출근, 6시 퇴근” 꿈꿔
공무원이 되려는 이유 1위는
“공무원연금과 노후보장”

⑬ 서울시 공무원

‘공시생’들이 합격 이후 가장 꿈꾸는 공무원의 삶은 ‘칼퇴근’인 것으로 조사됐다.

<한겨레>가 7·9급 공무원 전문학원 케이지(KG)와 함께 최근 공무원 수험생 317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114명(36%)이 ‘9시 출근, 6시 퇴근하는 여유 있는 삶’을 합격 뒤에 가장 기대하는 삶이라고 답했다. ‘적절한 전문성을 갖추고 공공 분야에 헌신하는 공직자의 삶’을 꿈꾼다는 응답(24%·76명)이 그 뒤를 이었다. ‘공무원이 되려는 이유’에서는 ‘공무원연금 및 노후보장’(46.1%)을 선택한 비율이 단연 높았고, ‘정년 보장’(15%), ‘일과 삶의 균형’(14.7%)의 차례였다.

‘합격 이후 가장 걱정되는 점’을 묻자 ‘갈수록 줄어드는 공무원 복지’(23%), ‘생각보다 잦은 야근과 많은 업무량’(20.2%), ‘예상보다 적은 봉급’(19.6%) 등의 답변이 나왔다. 합격 뒤 기대하는 월평균 소득은 ‘200만~250만원’(44.2%), ‘150만~200만원’(23%), ‘250만~300만원’(21.8%) 등이었다.

42.6%(135명)는 공무원시험이 첫 취업준비라고 답했다. 민간기업 취업을 준비하다 공무원시험으로 방향을 튼 경우(26.8%·85명), 언론, 금융, 의료, 회계사 같은 전문직을 준비하다 공무원시험에 도전하는 사람은 12.9%(41명)였다. 이들이 진로를 바꾼 주된 이유는 ‘너무 낮은 취업 가능성’(33%·91명)과 ‘고용불안’(22.5%·62명) 등으로 나타났다. 허승 기자 raiso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90년 묵은 ‘상호관세’ 꺼낸 트럼프…‘관세 98% 폐지’ 한국은 안심? 1.

90년 묵은 ‘상호관세’ 꺼낸 트럼프…‘관세 98% 폐지’ 한국은 안심?

인도 사람도 돼지바·죠스바 먹는다…롯데, 인도 신공장 준공 2.

인도 사람도 돼지바·죠스바 먹는다…롯데, 인도 신공장 준공

금융시장의 ‘최후 보루’ 중앙은행…내란 이후 한은 총재의 결정 3.

금융시장의 ‘최후 보루’ 중앙은행…내란 이후 한은 총재의 결정

다양·평등·포용 지우는 빅테크…‘테슬라 인종차별’에 머스크는 몸사려 4.

다양·평등·포용 지우는 빅테크…‘테슬라 인종차별’에 머스크는 몸사려

위기의 롯데그룹…내수·외국인 관광객에 명운 달렸다 5.

위기의 롯데그룹…내수·외국인 관광객에 명운 달렸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