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계법인 실사보고서 부풀려지고 서별관회의 내용 다르다는 의혹 탓
청와대 서별관회의(비공개 거시경제금융협의회)가 지난해 10월 대우조선해양의 분식회계 문제를 알고서도 4조2천억원의 유동성을 지원한 근거가 된 삼정케이피엠지(KPMG)의 실사보고서가 ‘엉터리 전망’을 했다는 의혹 보도(<한겨레> 7월14일치 1면·8면) 등과 관련해 14일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자료 요청과 문제제기가 잇따랐다.
이날 정무위 전체회의에서 김영주 의원(더불어민주당)은 임종룡 금융위원장에게 “지난해 7월부터 삼정케이피엠지가 실사를 했고 다시 삼일회계법인이 검증한 실사보고서를 근거로 (대우조선) 정상화 계획을 만들었다. 그 기초자료를 영업비밀을 이유로 공개하지 않는 것은 정부가 대우조선 지원 과정을 숨기려는 것 아닌가 싶다”고 말했다. 이어 <한겨레> 보도를 언급하며 “실사보고서와 서별관회의 문건 내용이 다르다는 보도가 있는데도 이를 공개하지 않는다면 (대우조선) 지원을 결정한 서별관회의에 대한 국민들의 의혹은 커질 수밖에 없다”고 자료 공개를 촉구했다.
지난해 10월 서별관회의 문건을 통해 드러난 삼정케이피엠지 실사보고서 내용은 대우조선의 순이익 전망치를 당시 숨겨진 부실 규모를 몰랐던 일선 증권사보다 6배나 많게 제시해 의혹을 불렀다. 또 삼정케이피엠지 쪽에선 서별관회의 문건에 정리돼 있는 실사보고서 내용과 실제 제출한 내용이 다르다는 취지의 증언도 나왔다.
채이배 의원(국민의당)은 “실사보고서와 서별관회의 문건이 다르다는 것은 실사보고서를 근거로 (금융위나 산업은행이) 손을 보면서 또다른 보고서를 만들었다고 볼 수 있다. 실사보고서뿐만 아니라 또다른 보고서도 공개해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임종룡 위원장은 대우조선의 영업비밀을 이유로 관련 자료를 제출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그는 “선박계약, 선박원가, 공정과정 등 기업 영업비밀이 담겨 있어 공개가 어렵다”고 말했다. 이에 정무위원장인 이진복 의원(새누리당)은 “기업 비밀에 해당하는 내용을 빼고 (실사보고서를) 공개하는 것이 옳다. 그 방법을 금융위가 찾아보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정훈 기자 ljh9242@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