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과급 비중 높이고, 평가 따라 임금 인상률도 차등
은행별 도입 앞두고, 노조 반발
은행별 도입 앞두고, 노조 반발
전국은행연합회가 같은 직급의 연봉을 최대 40%까지 차등화할 수 있는 ‘시중은행 성과연봉제 가이드라인’ 최종안을 21일 내놓았다.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은 성과연봉제 도입에 반대해 총파업을 예고한 터여서 앞으로 노사 간 갈등은 더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날 발표된 가이드라인은 신한·우리·케이비(KB)국민·케이이비(KEB)하나은행 등 14개 시중은행의 관리자급(부부점장 이상) 직원은 같은 직급끼리라도 연봉 차이가 30%이상 나도록 하는 내용을 담았다. 또 일반직원(책임자급 이하)의 연봉 차이는 20% 이상으로 정했다. 게다가 이런 격차를 많게는 40%까지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이는 같은 직급 내 연봉 격차를 30%로 둔 금융공기업의 성과연봉제 가이드라인보다도 강도가 더 센 것이다. 다만 업무 특성을 고려해 직무별 연봉 차등 폭은 달리 적용한다는 단서를 달았다.
기본급도 성과평가에 따라 개인별 인상률이 달리 적용된다. 은행연합회는 “전년도 성과에 따라 관리자급은 3%포인트 이상, 일반직원은 1%포인트 이상씩 차이를 두게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총 연봉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5%정도인 성과급 비중도 20~30%까지 확대하고, 최저 평가를 받는 직원과 최고 평가를 받는 이들의 성과급 차이도 최소 2배 이상 나게 할 계획이다.
은행연합회 관계자는 “호봉제와 형식적 연봉제 등 연공서열 중심의 보상관리에서 벗어난 성과주의 문화의 확산이 필요하다”며 “가이드라인을 기준으로 각 은행이 노사 합의 등을 거쳐 구체적인 적용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노조의 반발이 거세 진통이 예상된다. 앞서 금융노조는 성과연봉제 도입에 반대하며 지난 19일 전체 조합원을 대상으로 쟁의행위 찬반 투표를 진행해 95.7%의 찬성률로 파업안을 통과시켰다. 금융노조는 9월 총파업을 예고한 상태다. 금융노조 관계자는 “조직문화 와해와 불완전 판매 우려를 낳는 것은 물론 저성과자 퇴출 도구로도 악용될 수 있는 성과연봉제를 노사 합의도 없이 도입하겠다고 나설 경우 파국을 각오한 총파업에 나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승헌 기자 abcd@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