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선료 조정, 선박금융 유예 협상 답보
자율협약 기간만 한 달 연장 전망
채권단, 그룹차원 추가 자금 마련 요구
현대상선은 산은이 최대주주로, 경영정상화 시동
자율협약 기간만 한 달 연장 전망
채권단, 그룹차원 추가 자금 마련 요구
현대상선은 산은이 최대주주로, 경영정상화 시동
조건부 자율협약이 진행 중인 한진해운이 법정관리행의 기로에 서 있다.
2일 금융권의 설명을 들어보면, 한진해운은 지난달 말까지 해외 선주들과의 용선료 조정 협상과 해외 금융사 등과의 선박금융 유예 협상을 진행하려 했지만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당장 4일로 예정된 자율협약 종료 시점 안에 결과를 끌어내는 것이 사실상 어려운 상태라 채권단은 자율협약 기간을 한 달 더 연장할 전망이다.
문제는 추가 자금 확보 방안을 여전히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한진해운은 앞으로 1년6개월 동안 약 1조2000억원의 자금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진해운은 그동안 해외 선주와의 용선료 조정 협상과 선박금융 만기 연장에 나서면서 한진그룹 계열사의 유상증자 등으로 4000억원을 마련할 테니 채권단이 추가 지원에 나서 달라고 요청해왔다.
하지만 채권단은 대주주의 책임 분담 없는 추가 지원은 허용할 수 없다는 태도다. 이동걸 산업은행 회장 역시 지난달 20일 상반기 경영설명회에서 추가 자금 지원 불가 방침을 다시 확인한 뒤 “오너의 결심에 따라 빨리 정리될 수 있다”며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의 결단을 촉구했다.
선박금융 유예 협상의 성공 가능성이 높지 않은 것도 채권단이 그룹 차원의 추가 지원안 마련을 요구하는 배경이다. 앞서 구조조정이 진행된 현대상선의 경우에도 선박금융 유예는 가능성이 적다고 판단해 협상 시도조차 하지 않은 점을 감안하면 그룹 차원의 추가 지원안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채권단 쪽은 “한진그룹과 한진해운 쪽에서 남은 시간 동안 확실한 대안을 가져와야 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현대상선은 5일 출자전환을 위한 신주 상장이 완료되면 공식적으로 산업은행이 최대주주가 된다. 산업은행 관계자는 “벤처기업이나 이미 법정관리에 돌입한 기업들을 제외하면 보유한 자회사들 중에서는 현대상선이 주요한 구조조정 대상 기업이 되는 셈”이라며 “경영진추천위원회를 구성해 다음달께 경영진 교체와 조직 개편을 마무리하고, 외부 전문가 컨설팅을 통해 중장기 경쟁력 확보 방안을 마련하는 등 신속하게 경영 정상화 작업에 나설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승헌 기자 abcd@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