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전국의 지역특구에서 생산되는 우수제품들에 대한 수출 지원을 강화한다. 이를 통해 오는 2019년까지 지역특구 수출총액 1조원을 달성할 계획이다.
9일 중소기업청은 지역특구 제품의 수출 촉진과 특구내 창업 활성화를 뼈대로 하는 ‘지역특구 발전을 위한 수출촉진 및 창업활성화 전략’을 발표했다.
발표 내용을 살펴보면, 중기청은 지역특구에서 생산되는 우수제품 활성화를 위해 앞서 선정한 100대 수출 품목에 한해 지역특구 제품임을 인증하는 ‘지역특구제품 상징마크’ 사용권을 부여하기로 했다.
중기청은 100대 품목으로 선정된 지역특구 제품에 대해 단계별로 나눠 지원할 방침이다.
수출액 2억원 이하의 수출초기 품목이나 수출을 준비하고 있는 기업에 대해서는 중기청이 추진하고 있는 수출역량강화사업, 해외유통망진출지원사업, 코트라가 진행하는 내수기업수출기업화사업 및 해외지사화사업 등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수출액이 2억원 이상이지만 수출 국가가 1개국 등으로 판로가 적은 기업에는 ‘수출고도화사업’ 등을 통해 수출국가 다변화를 꾀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중기청은 세부적으로 대상 기업에 △해외규격획득지원사업 △무역촉진단파견사업 △전시회 참여지원 △글로벌 바이어 초청 상담회 등도 지원할 방침이다.
수출액이 20억원 이상이면서 2개국 이상 수출되고 있는 품목에 대해서는 ‘글로벌시장개척전문기업 활용 수출촉진사업’ 등 6개 사업 우대 지원책을 펼칠 계획이다.
또 중기청은 지역특구 100대 품목을 글로벌 온라인 쇼핑몰 및 역직구몰 판매전문기업에 추천해 온라인 수출도 지원한다. 제품발굴·연계시스템 등록을 지원해 대형마트, 온라인몰 등 내수 유통망 진입도 도울 계획이다.
지역특구의 창업 활성화를 위한 방안도 추진된다. 중기청은 창업활성화 수준과 기술 수준이 비교적 높은 5개 안팎의 창업선도특구를 지정해 창업지원사업에 연계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지역특구내 창업을 저해하는 업종, 입지, 융복합 등 관련 규제를 완화하고 특구 내 창업자를 대상으로 사무공간을 제공하는 등 창업 기반을 지원하기로 했다.
주영섭 중기청장은 “지역특구제도는 수출, 창업, 고용창출로 지역발전에 활기를 불어넣는 무한한 가능성을 지닌 제도”라며 “지역특구에 대한 정책적 지원을 강화해 창조경제를 실현하는 신성장 동력으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의욕을 보였다.
윤영미 선임기자
youngm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