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 여성 중에서 정부의 저출산 정책(출산장려정책)에 대해 만족하는 비율이 백명 중 다섯명 꼴에 불과하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또 직장 여성 열명 중 세명은 주변의 눈치 등을 보느라 법으로 보장된 육아휴직을 사용하지 못했고, 중소기업 근무 여성의 경우 육아휴직을 사용하지 못한 비율이 40%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11일 직장 여성 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저출산정책에 대한 여성 근로자 인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 조사에서 정부의 저출산 정책이 자녀 계획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된다는 응답은 27.2%에 그쳤다. 정부는 저출산 대책으로 일-가정 양립 문화 확산, 양육·주거비 지원 등의 정책을 펴고 있다. 정부 정책이 도움이 안 되는 이유로는 ‘지원 수준이 비현실적’(68.9%), ‘실제로 도움되는 정책 부족’(50.6%), ‘시설 부족으로 제때 이용 어려움’(40.2%) 등이 꼽혔다.
저출산 정책에 만족한다는 응답은 5.4%에 불과했다. 자녀의 나이가 어려 저출산 정책의 도움이 더욱 필요한 20·30대의 만족도는 각각 2.9%, 2%로 더 낮았다.
자녀가 있는 직장 여성들의 평균 육아휴직 사용 기간은 4.5개월로 조사됐다. 육아휴직을 아예 사용하지 않았다는 응답도 32%였다. 종업원 300명 미만 중소기업에 근무하는 여성은 육아휴직을 못 썼다는 응답이 40.9%에 달했다.
육아휴직제 등 일-가정 양립 문화 확산 정책이 기업에서 잘 적용되느냐는 질문에 ‘그렇지 않다’는 응답이 44.4%에 달했다. 그 이유로는 ‘상사 및 동료들의 눈치’(49.1%), ‘승진평가 불이익’(20.3%), ‘경영진 의지 부족’(16.7%)의 순서로 응답이 많았다.
미혼 직장 여성의 38.3%는 결혼 뒤에도 자녀를 낳을 계획이 없다고 답했다. 또 20·30대 기혼 여성의 절반은 자녀 양육에 부모의 도움을 받는다고 밝혔다.
곽정수 선임기자
jskwak@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