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통화량(M2) 중 기업이 614조7399억원 보유
3월 이어 6월에도 600조원 넘어서
불투명한 경기 전망으로 투자 망설이는 듯
3월 이어 6월에도 600조원 넘어서
불투명한 경기 전망으로 투자 망설이는 듯
우리나라 기업들이 예금 등의 형태로 보유한 돈이 가파르게 늘면서 지난 3월에 이어 6월에 다시 한번 600조원을 넘어섰다.
15일 한국은행 자료를 보면, 지난 6월 말 현재 시중통화량(M2) 잔액 2337조3880억원(원계열 기준) 가운데 기업이 보유한 금액은 614조7399억원으로 집계됐다. 엠투(M2)는 현금과 요구불예금,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 2년 미만 정기예·적금 등 쉽게 현금화할 수 있는 단기 금융상품으로 구성된 대표적인 통화지표다.
기업이 보유한 엠투(M2)는 월말 기준으로 지난 3월 말 604조7150억원으로 처음 600조원을 돌파했다. 4월엔 594조5345억원, 5월 596조606억원으로 두 달 연속 주춤했지만 6월 한 달 동안 18조6893억원이 급증하면서 최고 수준을 보였다. 6월 증가액은 한은이 통계를 내기 시작한 2001년 12월 이후 최대 규모다. 지난 3월엔 증가액이 18조4863억원이었는데, 이를 2천억원가량 웃도는 것이다. 한국은행은 “상반기 정부가 재정지출을 확대하면서 기업으로 돈이 많이 흘러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기업이 보유한 통화량은 올해 상반기에만 24조645억원(4.1%)이 늘었다. 2013년 6월 말(496조8631억원)과 견주면 3년 사이 117조8768억원 증가했다. 이는 우리나라 경제 규모가 커지고 저금리 장기화 등으로 유동성이 풍부해진 영향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기업이 보유한 통화량이 증가한다는 것은 불투명한 경기 전망 등으로 투자를 망설이면서 현금성 자산을 늘리는 경향과 무관하지 않아 반가운 일만은 아니다. 한은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통계를 보면 기업의 생산활동과 직결된 설비투자는 올해 1분기 7.4% 급감했다. 2분기에는 운송장비 증가 등으로 1분기보다 2.9% 늘었지만, 지난해 2분기보다 2.6% 감소하는 등 여전히 저조한 편이다.
김소연 기자 dand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