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만에 빚 100조 껑충…증가속도 ‘경고음’ 국가부채 200조
국가부채 200조 늘어나는 나라빚 현황·해법
지난해 말 현재, 우리나라의 국가부채가 200조원을 넘어섰다. 2008년에는 300조원을 넘어설 전망이다. 국가부채는 지난 2000년 처음 100조원을 넘어선 이래, 4년 만에 계속 100조원씩 늘어나는 모양새다. 우리나라의 국가채무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26.1%로 현재로선 안정적인 수준이다. 그러나 문제는 ‘규모’가 아닌 ‘속도’다. 지난 2000년부터 2004년까지 4년동안 국내총생산은 578조원에서 778조원으로 200조원 늘어났다. 같은 기간 국가채무는 111조9천억원에서 203조1천억원으로 91조2천억원 늘어났다. 국내총생산이 34.6% 늘어날 때, 국가채무는 81.5% 증가한 것이다. 97년 이후 7년새 3.4배↑…이자만 7조
부실기업정리·환율방어 때문에 크게 늘어
2006년부터는 복지예산이 국가재정 주름낼듯 현황(현재 건전, 미래 불안)=국가부채란 정부가 중앙은행이나 민간, 외국 등으로부터 빌려 쓴 돈을 말한다. 국가부채는 국채, 국내외 차입금, 국고채무 부담행위(예산확보 없이 국가부담이 될 계약을 체결하는 것), 지방정부 채무 등 4가지 항목으로 구성된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우발채무(보증채무 등), 공기업 부채, 통화당국 채무(통화안정 증권 차입 등), 사회보장 준비금(연금보험 등) 부족분 등은 국가부채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2004년말 현재 우리나라의 국가부채는 203조1천억원이다. 1인당 423만1천원, 4인 가족 기준으로 가구당 1692만4천원이다. 그러나 실제론 이보다 적다. 국가부채는 금융성 채무와 적자성 채무로 나눠진다. 금융성 채무(125조5천억원)는 국민주택기금 등 정부가 국민들에게 빌려주거나, 외화자산 보유 등 채권이나 자산을 부채와 동시에 갖고 있어 국민들이 부담하는 채무는 아니다. 재정을 메우느라 써버린 적자성 채무는 전체의 38%인 77조6천억원으로, 이는 국민 1인당 161만7천원에 그친다.
국가채무 추이
최근 몇 년간의 국가부채 증가원인은 연도별로 약간의 차이를 두고 있다. 98~2001년은 공적자금을 국채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국가부채가 급속도로 늘어났다. 부실기업으로 인해 금융권 부실이 생겨나고, 예금보험공사가 공적자금을 넣어 손실을 보전해주고, 이 공적자금은 국채로 전환하는 형태다. 4년 동안 들어간 공적자금은 98년 55조6천억원, 99년 35조5천억원, 2000년 37조1천억원, 2001년 27조1천억원 등이었다. 부실금융기관 정리가 어느 정도 마무리된 2002년 이후에는 이 금액이 2~3조원 수준으로 뚝 떨어졌다. ‘국민의 정부’가 외환위기 뒷처리 과정에서 국가부채를 늘렸다면, 참여정부에서는 환율방어로 국가부채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났다. 참여정부 2년동안(2003~2004) 늘어난 국가채무는 69조5천억원인데, 이중 절반 가량인 30조6천억원이 외환시장 안정용 재원조달에 쓰여졌다. 일반회계 재정적자 보전을 위한 차입은 5조5천억원에 불과했다. 정부는 수출가격 경쟁력 확보를 위해 외평기금용 국채를 발행해 자금을 마련한 뒤, 이 돈으로 달러·유로화 등 외화현물 등을 사들이는 방식으로 환시장에 직·간접적으로 개입해 환율 하락을 막아왔다. 이렇게 늘어난 국가부채는 적자재정에 쓰여진 국가채무와는 달리 외화자산 형태로 정부 재산으로 남아있긴 하다. 그러나 △외평기금 국채 이자 △환수수료 △매입 달러화·외국채권 가치 하락 등이 모두 환방어 비용으로 들어가는 셈이다. 정부는 최근 들어 이런 형태의 환율방어에 한계가 있음을 인식하고 환율을 시장에 맡기는 쪽으로 입장을 조금씩 바꾸고 있다. 이에 따라 앞으로 이로 인한 국가부채 부담은 상대적으로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국가채무 총액(203.1조)
그런데 내년 이후부터는 이 바톤을 사회복지 예산이 이어받을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2007~2009년 사회복지 부문 예산 가운데 저출산·사회안전망 분야에서 7조8천억원의 예산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데, 목적세 등 뚜렷한 대책이 없으면 이도 결국 국채 발행으로 해결할 수 밖에 없다. 박기백 한국조세연구원 연구위원은 “복지예산이란 한번에 끝나는 게 아니고, 일단 시행하면 계속 돈이 들어가는 분야”라며 “이를 조세 대신 국채로 해결하면 국가부채가 불과 몇 년 안에 급격하게 불어나게 된다”고 말했다. 권태호 기자 ho@hani.co.kr
정부 “세수증대가 유일한 대안” 민간 “불요불급한 세출 줄여야” 국가채무 해결책은
나라별 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