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오른쪽 두 번째)가 30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경제동향간담회에서 미국의 금리 인상 가능성과 저출산 고령화문제에 대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평가했다.
30일 이 총재는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관에서 열린 경제동향간담회에 참석해 “최근 연준의 재닛 옐런 의장과 스탠리 피셔 부의장이 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총재는 지난주 미국 와이오밍주 잭슨홀에서 열린 경제정책회의를 언급하며 “재닛 옐런 연준 의장이 ‘정책금리 인상 여건이 수개월째 강화되고 있다’고 발언했고, 피셔 부의장도 연내 두 번의 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했다”면서 연준의 연내 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아진 것이 사실이라고 내다봤다.
이렇게 미국의 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아진데다 가계 부채까지 급증함에 따라 시장에서는 한은이 기준금리를 추가로 인하할 여력이 약해졌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 총재는 “가계부채 문제는 정부 관계 당국이 가계대출을 적절한 수준에서 관리할 필요가 있다는 공통적인 인식하에서 대책을 마련하게 된 것”이라며 지난 25일 발표된 가계부채 대책 발표의 배경을 설명했다.
이 총재는 지난주 우리나라 국가신용등급 평가를 위해 방한한 신용평가기관 피치사 관계자들이 한국 경제의 위험요인으로 연준의 금리인상, 가계부채, 인구고령화 문제를 지적했다고 소개했다. 이어 피치가 지적한 3가지 가운데 인구 고령화가 가장 해결하기 어렵다며 “대책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우리나라 정부도 방안을 많이 마련했지만 미흡하지 않나 생각한다”며 “장기적 시각에서 저출산·고령화에 대한 실효성있는 대책을 마련해 일관성 있게 추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더불어 한은도 저출산·고령화에 대한 연구를 강화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정부와 진지하게 논의하겠다고 덧붙였다.
유선희 기자
duck@hani.co.kr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오른쪽 두 번째)가 30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경제동향간담회에서 미국의 금리 인상 가능성과 저출산 고령화 문제에 대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