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방향 태우는 동승자 개념 시작…“영역 확장할 것”
IT 공룡 구글이 본사 주변에서 시범적으로 운영하던 자체 차량공유서비스를 이번 가을부터 샌프란시스코 전역으로 확대할 것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3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는 기존 차량공유서비스 업계의 대표주자 격인 우버와의 정면 대결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현지 언론들은 해석했다.
구글의 서비스는 2013년 구글에 합병된 내비게이션 앱 웨이즈를 통해 제공될 예정이다.
WSJ는 "지금까지 알려진 구글의 서비스는 우버나 리프트처럼 차량 호출 예약 서비스와는 다소 성격이 다르다"면서 "같은 방향으로 가는 웨이즈 사용자들이 차량을 함께 이용하는 방식"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요금은 우버나 리프트보다 훨씬 저렴해질 것이라고 신문은 전했다.
IT 전문매체 테크크런치는 "외관상으로 구글의 서비스는 샌프란시스코 지역에 한정된 같은 방향 승객들 간의 차량 공유 서비스지만, 이는 향후 얼마든지 확장될 수 있다"고 전했다.
크라우드 소싱을 통해 운전자들을 연결하는데 초점을 맞춰온 웨이즈는 운전자들이 도로 사고, 장애물, 폭풍, 교통혼잡 등을 알려오면 이를 즉각 다른 운전자들과 공유할 수 있는 내비게이션 앱이다.
한때 구글과 우버는 좋은 파트너 관계였다.
구글의 벤처캐피털 GV는 2013년 우버에 2억5천800만 달러(2천884억 원)를 투자했고, 우버는 구글 지도를 사용했다.
하지만 우버가 급성장하면서 구글 지도에 대한 의존도를 크게 줄였고, 심지어 구글이 오랫동안 개발해온 자율주행차 시장에도 정식으로 도전장을 내밀었다.
볼보,포드와 손잡고 미국 피츠버그에서 자율운행 택시를 시험 운영하기로 발표한 것이 대표적인 예다.
우버는 또 자율주행 트럭을 개발하는 오토모토를 인수했다.
우버의 도전은 구글이 웨이즈를 인수하면서 카풀 서비스 시장에 진출하려고 한 데 대한 위기감에서 비롯됐다는 시각도 있다.
앞서 구글의 지주사인 알파벳의 기업개발부문 수석부사장이자 우버의 이사를 겸직했던 데이비드 드러먼드는 29일 "우버와 구글이 겹친다"면서 우버의 이사직을 사퇴했다.
미국 언론들은 이를 "알파벳과 우버의 갈등이 커지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