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험기업(당기순손실+영업적자+부채비율 200% 이상)도 11곳이나
정부, “한진해운 법정관리 신청 여파 차단하는데 만전 기할 것”
정부, “한진해운 법정관리 신청 여파 차단하는데 만전 기할 것”
한진해운이 경영난을 견디지 못하고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신청한 가운데 매출액 5천억원 이상 대기업 상장사 가운데 지난해 영업적자와 당기순손실을 동시에 기록한 수익성 악화 기업이 열곳 중 하나 꼴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영업적자 및 당기순손실과 함께 부채비율이 200%를 넘을 정도로 재무구조까지 열악한 기업도 11곳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2만기업연구소(소장 오일선)는 31일 2015 회계연도 기준 매출액 5천억 이상 상장대기업 273곳의 사업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당기순손실을 기록한 기업은 55곳으로 다섯곳 중 하나꼴이었다고 발표했다. 또 당기순손실과 영업적자를 동시에 기록한 기업도 23곳으로 거의 열곳 중 하나꼴이었다.
또 재무구조의 건전성을 보여주는 지표인 부채비율이 200%를 넘는 기업은 53곳으로 19.4%를 차지했다. 당기순손실과 영업적자를 기록하고, 부채비율도 200%를 넘어 수익성과 재무구조가 모두 열악한 이른바 ‘고위험기업’은 11곳으로 4.2%였다. 고위험기업으로는 이미 경영난으로 강도 높은 구조조정이 진행 중인 대우조선행양과 현대상선, 경영부실로 그룹이 해체된 에스티엑스(STX)가 포함됐다. 또 4대그룹 안에서는 삼성그룹 계열사인 삼성엔지니어링과 삼성중공업, 현대차그룹 계열사인 현대로템이 해당됐다. 10대그룹 계열사로는 한진중공업과 두산인프라코어가 포함됐다. 두산인프라코어는 올해 상반기 자산매각 등 대대적인 구조조정을 통해 부채비율을 200% 이하로 낮추었다. 10대그룹 밖으로는 대림그룹의 고려개발, 동부그룹의 경영난으로 계열분리된 동부건설, 대성그룹의 대성산업이 고위험기업으로 분류됐다.
한편, 유일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제3차 산업경쟁력 강화 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고, 주요 산업 구조조정의 동향 및 향후 계획을 논의했다. 유 부총리는 “전문기관 컨설팅 결과 등을 바탕으로 9월까지 조선·해운·철강·석유화학 산업의 경쟁력 강화방안을 구체화할 것”이라며 “산업조정 촉진지역 도입 등 종합적인 지역경제 활성화 대책을 마련해 산업 경쟁력 제고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말했다.
유 부총리는 한진해운의 법정관리 신청과 관련해 “책임있는 자구노력이 전제되지 않으면 정상화 지원도 없다”는 구조조정의 원칙을 재확인했다. 그는 “정부는 구조조정 대상 기업이 엄격한 고통분담의 원칙 하에 스스로 생존하고 경쟁력을 확보하도록 ‘원칙에 따라 신속하게’ 구조조정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유 부총리는 이어 경제·산업적 영향을 최소화하는 데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유 부총리는 “금융시장의 경우 관련 상황이 상당 부분 시장에 이미 반영됐고 은행 등 금융기관도 이미 대부분의 손실을 인식해 주식·채권 시장이나 은행 건전성 등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며 “시장 악화 가능성에 대비해 관계기관 공동 대응체계를 구축하고 주요 협력업체에 대해서는 맞춤형 금융지원도 실시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또 “해운·항만 산업의 경우 최소 2~3개월 간은 어려움이 불가피할 것”이라며 “단기 비상 수송대책 등 모든 정책수단을 동원하겠다”고 말했다.
곽정수 선임기자, 노현웅 기자 jskwa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