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진해운 법정관리 일주일, 피해는 계속 커져
한진그룹 “1천억원 마련하겠다” 발표했지만
밀린 대금 탓에 화물 내려놓기까지도 걸림돌 많아
중국에선 선박 2척 가압류
정부 부실대책으로 산업 구조조정 첫 단추부터 꼬여
한진그룹 “1천억원 마련하겠다” 발표했지만
밀린 대금 탓에 화물 내려놓기까지도 걸림돌 많아
중국에선 선박 2척 가압류
정부 부실대책으로 산업 구조조정 첫 단추부터 꼬여
한진해운 선박이 세계 곳곳에서 발이 묶인 탓에 운송 차질을 빚고 있는 국내 수출입 화물만 1조원 이상인 것으로 6일 파악됐다. 한진그룹은 이날 한진해운의 자산을 담보로 유동성을 지원하고 조양호 회장이 사재를 출연하는 등 1천억원의 긴급 자금수혈 계획을 발표했다. 하지만 ‘물류대란’이 해결되려면 풀어야 할 과제가 산적해 당분간 피해 확산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입항 거부 등으로 운항 차질을 빚고 있는 한진해운 선박은 전체 145척 가운데 87척이다. 여기에 실려 있는 우리나라 수출화물의 가치는 11억6천만달러(약 1조3천억원)로 추산된다. 한진해운의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가 개시되자, 돈을 받지 못할까봐 각국 항만에선 선박의 입출항을 막거나, 하역 관련 업체들이 화물 내리는 작업을 거부하고 있다. 한진해운은 용선료, 하역·운반비, 장비 임차료 등 밀린 대금만 6500억원가량 된다.
정부는 미국 롱비치, 독일 함부르크, 싱가포르 등 대륙별로 거점항만을 선정해 바다 위에 있는 한진해운 선박을 그쪽으로 이동시킨 뒤 물건을 내릴 계획이다. 한진해운 화물을 거점항만에 내리는 데만 하역비 등으로 1천억원가량의 돈이 들어갈 것으로 추산된다. 이에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은 사재 400억원을 내놓고, 계열사인 대한항공은 한진해운의 자산을 담보로 600억원을 융통하기로 했다.
하지만 거점항만에서 하역비 등으로 쓰일 1천억원을 조달한다고 해도 각국 법원의 압류 금지 결정(스테이 오더)이 나오거나 해당 국가와 입항 협상 등이 원활하게 이뤄져야 막힌 운송 길을 뚫을 수 있다. 해양수산부 관계자는 “미국 등에서 빠르면 이번주부터 압류 금지 결정이 나올 것으로 본다. 싱가포르 등 압류 금지 제도가 없는 국가와는 하역이 가능한지 협상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게다가 중국은 압류 금지 제도가 없는 탓에 이미 가압류된 선박 2척에 실린 화물을 되찾으려면 밀린 대금을 내야 한다.
이런 다양한 변수 탓에 한진그룹이 수혈하기로 한 1천억원으로는 부족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해수부 관계자는 “일단 1천억원으로 급한 불은 끌 수 있다. 부족한 돈은 한진이 추가로 책임을 져야 한다”고 말했다.
거점항만이 결정되고 화물 하역을 가까스로 끝낸다고 해도 문제가 모두 해결된 것은 아니다. 거점항만으로부터 최종 목적지까지 화물을 운송하는 것은 화주가 직접 맡아야 해서, 대체운송 교통편이나 추가 운임 등 화주들이 입을 피해는 커질 수밖에 없다.
김소연 김규원 기자 dand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