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부터 부채 급증했는데도 뒤늦게 파악
시중은행 대출금 줄일때 산은·수은만 늘려
시중은행 대출금 줄일때 산은·수은만 늘려
대우조선해양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부터 부채를 급격하게 키워왔는데도 산업은행은 지난해 6월에야 부실을 파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산업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대우조선해양 신용공여 현황 자료'에 따르면 대우조선이 받은 대출 잔고는 2008년 말 2196억원이었지만 이듬해 말 8630억원으로 4배 이상 늘었다고 8일 밝혔다. 또 기업어음(CP)과 신용장(L/C) 발행잔고는 2008년 말까지 아예 없었지만 2009년 말에는 각각 5천억원, 9999억원으로 늘었다. 이후에도 저가수주로 인한 적자를 키워가면서 차입경영으로 올 6월 기준으로 대출 잔고는 3조5808억원, 기업어음 1조9500억원, 신용장 1조2873억원 등 부채가 크게 늘었다.
이 과정에서 시중은행들은 조선업종 전반에서 유동성 위기가 커진 2013년 이후 신용공여액을 줄였지만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은 반대로 계속 늘렸다. 산업은행의 대우조선에 대한 신용공여 잔고는 2014년 말 1조8124억원에서 작년 말 3조4320억원, 올해 6월 기준 5조1574억원으로 폭증했다. 수출입은행도 같은 기간에 6조9846억원에서 8조9901억원, 9조6158억원으로 급증했다. 반면 시중은행들은 2014년 말 4조3474억원에서 올해 6월 3조1645억원으로 신용공여액을 줄였다.
그럼에도 산업은행은 박 의원실에 보낸 자료에서 대우조선의 부실화 포착 시점이 재무진단 결과를 보고 받은 작년 6월 25일이라고 밝혔다.
박용진 의원은 “대우조선은 이미 2008년부터 유동성 위기를 감당하지 못하고 계속해서 부실 징후를 나타냈다. 그럼에도 금융당국, 회계법인, 신용평가사만 삼위일체로 괜찮다며 국민의 눈을 속였다”고 지적했다.
이정훈 기자 ljh9242@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