뒷북 대응으로 소비자에게 사용 중지 권고도 못해
리콜도 삼성전자가 시행 들어간 뒤 사흘 뒤 승인
리콜도 삼성전자가 시행 들어간 뒤 사흘 뒤 승인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국가기술표준원이 삼성전자 갤럭시노트7 배터리의 첫 ‘폭발’이 알려진 뒤 일주일 동안 그 사실을 몰랐던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우원식 의원(더불어민주당)은 26일 “기술표준원이 갤럭시노트7의 배터리 폭발 사고를 처음 인지한 시점이 첫 폭발 사고 일주일 뒤인 8월31일인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갤럭시노트7의 배터리 폭발이 처음 알려진 것은 8월24일이다. 그날 새벽 발생한 폭발은 인터넷 커뮤니티 ‘뽐뿌’를 통해 알려지면서 언론에도 다수 보도됐다. 포털사이트 ‘다음’ 기준으로 그날 하루에만 126건의 기사가 인터넷에 올랐다. 또 8월31일까지는 모두 7대의 배터리 폭발이 언론 등을 통해 널리 알려졌다.
그러나 기술표준원은 8월30일까지 일주일 동안 이런 사실을 까맣게 모르고 있었다. 8월31일에야 이 사실을 처음 인지했고, 9월1일 삼성전자에 관련 자료와 자진 수거(리콜) 계획을 내라고 요구했다. 21일엔 새 제품 배터리의 안전을 확인했고, 22일엔 삼성전자의 자발적 리콜을 승인했다.
문제를 알고 난 뒤의 대응도 뒷북이었다. 갤럭시노트7에 대해 소비자들에게 사용 중지 권고도 하지 않았다. 앞서 미국은 9월8일 연방항공청이 이 제품의 비행기 안 충전과 사용 중지를, 이튿날 미국 소비자제품안전위원회는 사용 중지를 권고했다. 그러자 10일 삼성전자도 소비자들에게 사용 중지를 권고했다.
리콜도 마찬가지였다. 삼성전자는 2일 전 세계 리콜 방침을 발표했고, 12일 캐나다에서 리콜이 처음 실시됐다. 15일 미국 소비자제품안전위도 리콜을 결정했고, 국내에서는 19일부터 리콜이 시작됐다. 그러나 기술표준원은 22일에야 리콜을 승인했다. 제조사가 리콜을 먼저 하고 승인을 나중에 한 것이다.
이에 대해 주영준 기술표준원 제품안전정책국장은 “소비자의 신고나 제조사의 보고가 없었기 때문에 폭발 사고를 알 수 없었다. 매체들의 보도는 보지 못했다. 인지 시점이 그렇게 늦은 것도 아니고, 일주일이 지났다고 큰 문제가 생긴 것도 아니다. 인지한 뒤에 적절히 조처했다”고 해명했다.
우원식 의원은 “기술표준원은 첫 폭발 사고 뒤 즉시 안전성 조사와 사용 중지 권고, 리콜 등을 실시했어야 했다. 소비자의 생명과 안전을 보호해야 할 기술표준원이 일주일 동안 폭발 사실도 모르고 있었다. 제조사가 알아서 할 일이란 안일한 생각에서 나온 늑장 대응”이라고 비판했다.
한편 25일(현지시각) 미국 디트로이트발 델타항공 여객기에서 삼성전자의 태블릿에서 연기가 나 비행기가 영국 맨체스터에 기착했다고 <에이비시>(ABC) 방송 등이 보도했다. 승무원들은 좌석에 떨어진 태블릿이 좌석을 바로 세우거나 뒤로 기울이는 과정에서 끼인 게 연기의 원인으로 짐작된다고 말했다. 여객기는 좌석을 교체하고 두 시간 만에 애초 목적지인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으로 향했다.
삼성전자는 “갤럭시탭에 외부 충격이 가해져 문제가 생긴 것으로 알고 있으며, 기기 내부 문제가 아니다”라고 밝혔다.
김규원 이완 기자 ch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