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인허가 물량이 석 달째 줄어드는 등 주택공급이 한풀 꺾이고 있다.
30일 국토교통부 자료를 보면, 9월 주택인허가물량은 4만8024가구로 1년 전(8만7955가구)보다 45.4% 감소했다. 올 상반기까지 계속 증가세를 보였던 인허가 물량이 지난 7월 25.9% 감소한 뒤 3개월째 1년 전보다 줄어들고 있다. 9월 인허가물량은 3년 평균(5만3천가구)에 근접한 수준이다. 국토부는 인허가물량이 예년 수준으로 돌아가고 있다고 분석했다. 수도권 인허가는 1만4872가구로 지난해보다 71%나 감소했지만 지방은 3만3152가구로 9.8% 줄어드는 데 그쳤다. 주택유형별로는 아파트가 3만3545가구, 아파트 외 주택이 1만4479가구로 1년 전보다 각각 49.6%와 32.3% 감소했다. 반면 9월 공동주택 분양물량은 4만5830가구로 1년 전보다 22.3% 늘었다. 수도권이 2만6202가구, 지방이 2만628가구로 각각 18.3%와 27.1% 증가했다.
9월 말 현재 전국 미분양주택은 6만700가구로 8월보다 3% 줄었다. 다만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 미분양주택은 1만9021가구로 한 달 사이 10.9% 감소했지만 지방은 4만1679가구로 1.2% 증가해 분양시장이 양극화 현상을 보였다.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주택은 9월 말 1만738가구로 8월과 견줘 4% 감소했다.
김소연 기자
dand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