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점업 생산지수 85.2로 2011년 9월 이후 가장 낮아
경기 좋지 않고, 과잉 공급 원인인 듯
청탁금지법까지 본격 시행 회복 쉽지 않을 듯
경기 좋지 않고, 과잉 공급 원인인 듯
청탁금지법까지 본격 시행 회복 쉽지 않을 듯
경기 둔화가 장기화하면서 식당 경기가 5년 만에 최악으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통계청 자료를 보면, 9월 일반 음식점업의 서비스업 생산지수는 85.2로 2011년 9월 83.9 이후 가장 낮았다. 서비스업 생산지수는 매출액 등 서비스업의 생산 활동을 지수화한 것이다. 2010년 지수를 100으로 놓고 100보다 높으면 2010년보다 생산 활동이 활발해졌다는 것을, 100보다 낮으면 생산 활동이 둔화했다는 것을 뜻한다. 일반 음식점업은 한식집, 중식집, 일식집, 뷔페 등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식당을 말한다.
일반 음식점업의 월별 생산지수는 2010년대 들어 대부분 100 미만을 오르락내리락 하다가 2010년 12월 115.9로 최고치를 찍었다. 지난해 12월 106을 보인 음식점업 생산지수는 올해 들어 월 기준으로 한 번도 100을 넘지 못한 채 대부분 90대에 머물더니 9월 들어 80대까지 떨어졌다.
이처럼 음식점업이 위축된 것은 경기 둔화가 길어지고 있는데다 은퇴한 베이비붐 세대들이 진입 장벽이 낮은 식당 창업에 몰리면서 과잉 공급됐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통계청은 “경기가 좋지 않다 보니 식당을 찾는 손님이 줄어 음식점업 자체가 전반적으로 좋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경기 부진이 계속되고 청탁금지법도 본격 시행되고 있는 만큼, 당분간 식당경기 회복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김소연 기자 dand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