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기술시험원, 1차 조사 때 비파괴 검사로 논란
이번엔 모든 단계, 모든 결함 가능성 전면 조사
이번엔 모든 단계, 모든 결함 가능성 전면 조사
정부가 삼성전자 갤럭시노트7의 교환 제품 가운데 첫 발화 사고가 난 제품에 대해 다시 조사하기로 했다. 정부는 이 제품에 대한 1차 조사 때 제품 자체의 결함이 아니라는 성급한 결론을 냈다가 거센 비판을 받았다.
17일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한국산업기술시험원은 “지난 10월2일 갤노트7의 교환 제품 가운데 가장 먼저 발화 사고가 난 제품을 오늘 삼성전자로부터 넘겨받았다. 앞으로 모든 방법으로 모든 결함 가능성에 대해 다시 조사한다”고 밝혔다.
애초 삼성전자는 이 제품에 대해 사고 직후인 10월4~5일 산업기술시험원에 ‘비파괴 비교 검사’를 의뢰했다. 시험원은 이틀 만에 육안과 엑스레이, 시티(CT) 등 검사만으로 “외부 충격이나 눌림에 따른 것으로 추정되는 흔적이 발견됐다”는 조사 결과를 내놨다. 그러나 그 뒤에도 교환 제품의 발화 사건이 줄을 이어 성급하고 부정확한 조사였다는 비판을 받았다.
이번 조사는 해당 제품의 소비자가 재조사를 요구했고, 삼성전자가 이를 받아들여 해당 제품을 시험원에 넘김으로써 이뤄졌다. 이번에는 정부의 리콜 조처에 따른 것이기 때문에 더 철저하게 조사할 것이라고 시험원은 밝혔다. 설계나 소프트웨어, 생산·출하 과정 등 모든 단계의 결함 가능성에 대해 조사한다.
앞서 시험원은 10월11일 정부의 갤노트7에 대한 사용·교환·판매 중단 권고에 따라 삼성전자로부터 정상품과 고장품(발화 제품) 다수를 넘겨받아 조사를 벌여왔다. 첫 발화 제품에 대한 이번 재조사는 1차 조사 때의 문제점을 보완하려는 것이다.
시험원의 관계자는 “지난 10월11일부터 공식 조사를 벌여왔다. 이번 조사 결과가 나오는 대로 기술표준원을 통해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삼성전자 관계자는 “정부의 조사에 협조하기 위해 갤럭시노트7의 교환 제품 중 이상 연소가 발생한 제품을 오늘 시험원에 보냈다. 이상 연소 원인에 대해서는 내부에서도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김규원 이완 기자 ch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