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리 복잡하고 여유 공간 적어
보행자들 대화·쇼핑 등 어려워
“활력이 넘친다기보다 혼잡한 것”
보행자들 대화·쇼핑 등 어려워
“활력이 넘친다기보다 혼잡한 것”
서울 강남역 일대는 너무 혼잡해 다른 곳보다 오히려 상권이 활성화되지 못한 측면이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22일 건축도시공간연구소 김승남 부연구위원 등이 쓴 ‘서울시 주요 상업가로의 가로활력도 평가결과와 시사점’ 보고서를 보면, 강남역과 신촌역 일대와 서래마을 가운데 활력도가 가장 높은 곳은 서래마을이고 최저는 강남역이었다. 유동인구가 많은 강남역 일대가 상권 등이 덜 활성화됐다는 평가는 일반적인 인식과 배치되는 결과다.
이번 연구에서 거리 활력도는 ‘1분 사이 너비 1m 거리를 지나간 보행자 수’를 의미하는 보행량과 보행자의 활동 중 ‘선택적·사회적 활동’이 차지하는 비율과 지속한 시간 등을 종합해 100점 만점으로 산출됐다. 선택적·사회적 활동은 덴마크 도시공학자 얀 겔이 제안한 옥외활동 유형 가운데 통학·통근 등을 목적으로 거리를 지나가는 필수적 활동을 제외한 활동이다. 벤치나 공원에서 다른 사람과 대화를 나눈다든가 가게를 둘러보며 쇼핑하는 등이 대표적인 선택적·사회적 활동이다.
강남역 일대는 보행량이 많으나 거리가 매우 복잡하고 여유 공간이 없어 보행자들이 다양한 선택적·사회적 활동을 지속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실제 강남역 조사지역의 거리 활력도는 최고 점수도 47.3점에 그쳤고 이면도로(테헤란로5길) 한 곳은 활력도가 0점이었다. 반면 서래마을은 보행량이 강남역이나 신촌역보다 적었지만 조사지역 활력도 평균값이 57.3으로 다른 곳(강남역 16.5·신촌역 35.5)보다 크게 높았다.
김승남 부연구위원은 “강남역은 이동하는 사람들이 많을 뿐 대화 등 활동을 하는 공간이라고 하긴 어렵다”며 “이런 경우 거리에 활력이 넘친다기보다 혼잡하다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거리에 활력이 돌게 하려면 보행량을 늘리는 것과 함께 거리환경을 개선해 선택적·사회적 활동이 일어나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소연 기자 dand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