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차 판매 중 대부분이 하이브리드
부담 적고, 전기차 인프라 부족이 원인
부담 적고, 전기차 인프라 부족이 원인
올해 10월까지 판매된 국내 친환경 자동차 가운데 하이브리드 차량의 비중이 94.2%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순수 전기차는 5.4%에 불과했다.
27일 한국자동차산업협회와 한국수입차협회에 따르면, 올해 1~10월 국내 친환경차의 판매량은 5만3631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 3만2745대보다 63.8% 늘어났다. 국산차는 2만5075대에서 4만1164대로 64.2% 늘었고, 수입차도 7670대에서 1만2467대로 62.5% 증가했다.
특히 친환경차 가운데 하이브리드 차량은 올해 10월까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8.1% 늘어난 5만544대가 팔렸다. 하이브리드 차량은 기존의 내연기관 엔진에 더해 전기 모터를 함께 장착한 차량을 말한다.
국내 친환경차 시장에서 하이브리드 차량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1~10월 91.8%에서 올해 같은 기간 94.2%로 2.4%포인트 늘어났다. 하이브리드 차량의 압도적 인기는 기존의 내연기관 차량에 익숙한 운전자한테 부담이 적다는 점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또 순수 전기차의 운영을 뒷받침할 수 있는 급속 충전기 등 기반시설의 부족도 작용했다.
정부가 많은 보조금을 지급하며 보급 중인 전기차는 올해 들어 10월까지 2896대가 판매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의 2586대보다 12.0% 늘어난 수준이다. 이 가운데 현대차의 ‘아이오닉 일렉트릭’이 1480대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은 지난해 1~10월 93대 판매에서 올해 같은 기간 161대로 73% 늘어났으나, 판매 대수 자체가 너무 적다.
김규원 기자 ch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