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 불편 넘어 제품 ‘안전 이슈’로 다룰 것인지 검토중"
주로 해외 소비자들이 제기하고 있는 애플 아이폰의 갑작스런 꺼짐 현상과 배터리 폭발 논란과 관련해 국가기술표준원이 애플 쪽에 제품 결함 여부와 관련된 자료를 보내라고 요청한 것으로 확인됐다. 갤럭시노트7 사례에 이어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기술표준원이 아이폰 배터리 문제를 ‘소비자 안전’ 이슈로 보고 본격 조사에 나설지 주목된다.
기술표준원은 14일 “최근 외신 등을 통해 아이폰6 시리즈(아이폰6·아이폰6플러스·아이폰6s플러스)의 꺼짐 현상과 배터리 폭발 논란이 불거지고 있어 이 사안을 유심히 살펴보고 있다”며 “최근 애플코리아 쪽에 관련 자료를 보내달라고 요청했다”고 말했다. 기술표준원은 “국내에서 아이폰 배터리의 안전 관련 실제 피해 사례는 아직 접수되지 않고 있지만, 그 이전에 먼저 아이폰에 대한 결함 여부 테스트를 해보려는 등의 목적으로 애플 쪽과 접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제품 자체 결함으로 인해 인체 위해 우려가 있는 경우 기술표준원은 리콜을 명령할 수 있다.
기술표준원은 또 “단순한 소비자 불편을 넘어, 갤럭시노트7처럼 배터리와 관련된 ‘안전 이슈’로 다룰 수 있는지 살펴보고 있다”고 말했다. 기술표준원은 8월31일 국내에서 갤럭시노트7 사용 중에 배터리 발화 사고가 발생하자 제품안전기본법에 따라 삼성전자에 관련 조사 사항을 보고하도록 요구한 바 있다.
아이폰은 최근 중국 등지의 해외 소비자가 결함 문제를 잇따라 제기하면서 논란에 휩싸이고 있다. 중국 소비자협회는 지난달 배터리가 30%가량 남았는데도 전원이 갑자기 꺼지는 현상이 빈발한다고 지적했고, 상하이 소비자위원회는 아이폰6 시리즈에 불이 붙었다는 소비자 신고 8건을 공개했다. 애플코리아는 현재 누리집에 일부 아이폰6s 배터리 교체를 안내하고 있으나, 안전 문제 때문이 아니라 소비자의 불편 해소 차원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조계완 기자 kyewa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