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두달 새 맥주, 콜라, 빵 등 줄줄이 가격 인상
AI 탓 계란값 폭등 계속되는 신선식품 값 널뛰기로 서민 물가 비상
AI 탓 계란값 폭등 계속되는 신선식품 값 널뛰기로 서민 물가 비상
빵, 달걀에 이어 라면값까지 올라 서민들의 장바구니 물가에 비상이 걸렸다.
국내 라면 매출 1위인 농심은 주요 제품 권장소비자가격을 평균 5.5% 인상한다고 16일 발표했다. 해당 품목은 대표 상품인 신라면을 비롯해 전체 28개 가운데 18개이며 이달 20일부터 올려받는다.
이에 따라 신라면은 780원에서 830원으로, 너구리는 850원에서 900원으로, 짜파게티는 900원에서 950원으로 오른다. 또 육개장 사발면도 800원에서 850원으로 인상된다. 농심이 라면값을 올린 건 2011년 11월 이후 5년1개월 만이다. 농심은 “마지막 가격 조정 이후 누적된 판매 관련 비용, 물류비, 인건비 등 제반 경영비용의 상승분 때문에 인상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앞서 농심은 새우깡 등 주요 과자 제품 소비자가격을 지난 7월에 평균 7.9% 인상하기도 했다.
연말이 가까워지면서 서민의 살림살이와 밀접한 식품 가격이 줄줄이 올라가고 있다. 지난 11월 초 오비맥주가 ‘카스’ 출고가를 6% 올렸고, 코카콜라가 콜라와 환타 등 주요 제품 가격을 5% 인상했다. 12월 초에는 국내 점유율 1위 빵집 파리바게뜨가 단팥빵, 케이크 등 주요 제품값을 평균 6.6% 인상했다. 또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전국적으로 급속히 확산하면서 12월 들어서만 대형마트 3사의 달걀값이 두차례 올랐으며 당분간 오름세가 이어질 전망이다. 월동 채소 가격도 계속 들썩이고 있어 밥상물가의 불안정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채소, 계란 같은 기초 식재료는 물론 라면과 맥주 가격도 오른 탓에 분식점과 술집 등 식당가의 가격 인상도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 1일 통계청이 내놓은 ‘11월 소비자물가 동향’을 보면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3% 올라 10월과 같은 수치를 보였다. 한국희 엔에이치(NH)투자증권 수석연구원은 “원재료 상당 부분을 수입하는 식품 공산품 물가는 달러 강세로 가격 상승 요인이 남아 있으나 불황으로 인한 소비자들의 가격 저항이 강해 기업들의 고민이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은형 기자 dmsgud@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