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GDP성장률 6.7% 발표
4분기 성장률 6.8%로 반등세
12월 소매판매 10%대 증가 주목
“개인 소비가 성장 동력으로”
미·중 G2 통상·환율 갈등 고조
한국, 트럼프 취임식 발언 예의주시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지난해 4분기에 반등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나 올해 중국 경제의 경착륙 우려가 다소 완화됐다. 하지만 미국 우선주의·보호무역주의를 노골적으로 예고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20일(현지시각) 출범하면서 주요 2개국(G2)의 통상·환율 갈등이 전면화할 가능성이 커졌다. 트럼프 자신은 물론 장관 지명자들이 연일 ‘중국 때리기’에 나서고 중국도 언론을 통해 ‘맞불론’을 펼치고 있어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국면이다.
20일 중국 국가통계국은 2016년 연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6.7%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이는 1990년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중국은 성장률이 2015년 이후 2년 연속 7%를 밑돌면서 이른바 6%대 성장이 굳어진 ‘바오류 시대’에 접어들었다.
그러나 지난해 4분기 성장률은 전년 동기 대비 6.8% 상승해 반등세를 나타낸 점이 주목된다. 1~3분기는 각각 전년 동기 대비 6.7% 성장했는데, 4분기에 이르러선 성장률이 0.1%포인트 올라갔기 때문이다. 이치훈 국제금융센터 중국팀장은 “4분기 성장률 반등으로 지난해 초에 제기됐던 중국 경제의 경착륙 우려가 완화됐다”고 짚었다.
자료:중국 국가통계국">
이날 중국은 지난해 12월 소매판매 증가율도 발표했는데, 시장 예상치를 뛰어넘어 전년 동기 대비 10.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시장조사업체 아이에이치에스(IHS)의 아시아태평양 수석이코노미스트 라지브 비스워즈는 <블룸버그>에 “중국의 전통적 성장 동력이었던 투자와 수출이 약해지면서 개인 소비가 경제 성장의 중요한 동력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투자의 경우 민간투자보다는 정부의 재정투자가 성장 기여도가 훨씬 컸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올해 중국 성장률 전망치를 6.5%로 제시하는 등 완만한 성장 둔화세를 전망했지만, 미-중 관계의 불확실성이 큰 변수로 남아 있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행정부가 관세나 환율 카드를 들고 당장 중국을 겨냥한 전면 제재에 나서지는 않을 것이라고 본다. 중국은 위안화 약세를 되레 차단하고 나선 데다, 중국산 제품에 일괄적으로 고율 관세를 매길 경우 당장 미국 내 소비자 불만이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트럼프 행정부가 조만간 중국 특정 기업에 압박을 가하거나 비관세 제재 등을 들고 나올 가능성은 상당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한국 정부도 트럼프의 대통령 취임식 발언을 예의 주시하고 있다. 정부가 가장 우려하는 부분은 보호무역주의를 노골화한 통상 압박이다. 한국에 대한 직접적인 압박도 우려되지만, 주요 2개국(G2)인 미국과 중국 사이의 통상·환율 갈등으로 불확실성이 커질 경우 후폭풍이 우리 경제에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유일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설을 앞두고 충남 공주 산성시장을 방문한 자리에서 “트럼프 대통령 취임사에서 경제와 통상 부분에 관심을 두고 있다. 중국을 거론할지 가늠하기 힘들다”면서 “다만 우리나라를 직접 거론할 가능성은 거의 없을 것 같다”고 내다봤다. 유 부총리는 “트럼프 당선인이 후보 때와는 입장이 다를 것이라고 하는데, 통상 문제와 관련해 어떤 부분의 변화가 있는지 살펴볼 예정”이라고 말했다.
김효진 김소연 기자
jul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