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통상정책 등 불확실성 줄이기
외국수주 외교활동 특임대사도 검토
외국수주 외교활동 특임대사도 검토
정부가 최근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 글로벌 경제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경제 관련 특임대사를 임명하는 안을 검토하고 있다.
20일 기획재정부의 말을 종합하면, 정부는 국제 문제에 대한 전문성과 인지도를 갖춘 특임대사를 임명해 세계 경제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안을 검토 중이다. 특임대사는 특히 미 트럼프 대통령 취임 뒤 새 행정부와 소통을 강화해 환율·통상 정책 등과 관련된 불확실성을 줄이는 구실을 할 것으로 보인다.
특임대사의 정식명칭은 ‘대외직명대사’로, 주재국을 정하지 않고 경제 이슈가 있을 때마다 투입돼 상대국과 우리 정부 간 다리를 놓는다.
정부는 국외 수주 외교활동 특임대사 임명안도 검토하고 있다. 앞서 지난 19일 최상목 기획재정부 1차관도 ‘대외경제 전문가 간담회’에서 “국외 인프라 수주를 늘리기 위해 특임대사 임명 등 외교력과 민관 합동 역량을 총동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부는 트럼프 대통령이 1조달러 규모의 미국 인프라 투자를 공언했기 때문에 특임대사가 우리 기업의 수주에 주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임대사의 규정상 임기는 1년이며 1년 연장이 가능한 무보수 명예직이다.
김소연 기자 dand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