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외경제정책연구원, 고령화-통화정책 상관도 실증분석
통화정책 공백은 재정정책으로 메워야
독일식 미니잡 만드는 노동정책 필요
통화정책 공백은 재정정책으로 메워야
독일식 미니잡 만드는 노동정책 필요
급격한 인구 고령화의 파장은 영역을 가리지 않고 넓고 깊다. 그 중 빼놓을 수 없는 것 중 하나가 거시경제정책의 한 축인 통화정책이다. 국책연구원인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은 인구 고령화 현상이 통화정책의 효과를 떨어뜨린다는 실증분석 결과를 내놓으며, 재정정책의 역할 확대와 노령층도 일을 할 수 있는 노동 개혁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윤덕룡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과 이동은 고려대 국제대학원 교수는 7일 ‘고령화 시대 주요국 금융시장 구조 변화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 보고서는 한 나라의 고령화 수준과 통화정책 간의 상관 관계를 따져보기 위해 1995년부터 2014년까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5개 회원국을 대상으로 실증분석한 결과를 담았다.
이를 보면, 분석 대상 국가의 고령화 비중 중앙값(15.4%)에 미치지 못하는 비교적 젊은 국가에선 금리가 상승할 때 주가는 하락하고 가계 지출과 부채는 감소하는 현상이 뚜렷했다. 그러나 고령화 비중이 높은 나라에선 금리를 올려도 가계지출이나 부채, 금융시장에 별다른 변화를 가져오지 못했다. 보고서는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그동안 통화정책이 염두에 두고 있던 파급 효과가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나타나지 않거나 외려 약화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런 분석 결과는 인구 고령화가 매우 빨리 진행되고 있는 한국에 의미하는 바가 적지 않아 보인다. 통계청은 한국이 올해 65살 이상 고령인구 비중이 14%를 넘어서 고령사회에 진입하고 2026년엔 고령인구 비중이 20%가 넘는 초고령사회에 들어설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보고서는 “고령화 속도를 염두에 둘 때 통화정책의 유효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거나 대체할 수 있는 정책을 개발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보고서는 일단 재정정책의 강화를 강조했다. 금리 조정으로 거시경제의 물꼬를 바꾸는 통화정책보다는 특정한 부문에 선별적으로 자금을 투입할 수 있는 재정정책이 외려 더 큰 효과를 낼 수 있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정부는 재정정책이 유효한 수단이 될 수 있도록 재정건전성 수준을 관리해 필요시 적절한 효과를 낼 수 있도록 그 역량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또 노동시장 개혁의 필요성도 언급했다. 특히 이 보고서는 고령화 수준이 높은 독일이 2000년대 초 고령층도 일을 할 수 있도록 작은 일자리(미니잡)를 적극적으로 만들어낸 노동 개혁 사례를 소개했다. 보고서는 “한국은 사회보험이 노후생활을 충분히 보장하기 어렵다. 고령층을 위한 미니잡을 확대하는 정책이 최대한 빨리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외에도 보고서는 고급 외국 인력 유치를 위한 적극적 이민정책의 필요성도 언급했다.
김경락 기자 sp96@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