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정부서울청사 별관 국제회의실에서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와 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기재부장관을 비롯한 정부, 수출유관기관, 기업인 등 130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11차 무역투자진흥회의가 열리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미국의 자국 우선주의 통상정책과 중국의 비관세장벽 강화 등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기조에 대응해 정부가 아세안·인도·중동 신흥시장으로 수출을 다변화하는 정책을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11차 무역투자진흥회의에서 올해 ‘수출플러스 전환을 위한 총력대응’에 나서기로 하고, “미국과 중국 등 일부 시장에 대한 수출의존도를 줄이고, 대신에 아세안·중동에 대규모 무역사절단을 파견하고 현지 프로젝트 수주 지원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아세안 지역은, 중국시장 포화와 내수화 전략 등 ‘포스트 차이나’에 대비해 △아세안 지역의 현지 제조기지 육성 지원 △베트남 하노이엑스포 참가 △우리 기업의 필리핀 수알 석탄화력발전사업(18억달러) 및 싱가포르-말레이시아 고속철 건설사업(150억달러) 수주를 총력지원하기로 했다.
국제유가가 상승세로 돌아서면서 높은 성장이 예상되는 중동 국가는 오는 4월 한-사우디아라비아 산업장관 회담을 갖는 등 각국의 ‘포스트 오일’ 산업화 정책과 연계한 협력사업을 추진하고, 인도에서는 ‘메이크 인 인디아’ 제조업 육성정책을 활용해 한국산 부품·기자재 진출을 집중 지원하기로 했다.
화장품·농수산식품·의약품·생활용품·패션의류 등 5대 소비재는 올해 수출 270억달러 달성을 목표로 신규 유망시장을 중심으로 문화융합 마케팅에 나서기로 했다. 중소기업 제품이 한류 한국드라마 간접광고를 활용할 수 있도록 올해 4회에 걸쳐 드라마 제작사와 중소기업 제품간 매칭페어를 열고, 세포라·부츠 등 글로벌 유통망에 화장품 우수기업 10개 기업의 제품 입점을 추진하기로 했다.
새로운 무역채널로 급부상하고 있는 전자상거래 수출 확대를 위해 중소기업 수출금융 자금에 온라인 수출기업을 위한 특화자금(200억원)을 신설하고, 중소기업이 아마존·알리바바 등 글로벌 온라인 몰에 입점할 수 있게 지원하기로 했다. 전자상거래 수출 업계가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는 표준화된 외국어 상품데이터베이스도 올해 구축을 완료할 예정이다.
조계완 기자
kyewan@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home01.html/◎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