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부산, 광주까지 중간에 정차하지 않는 ‘직통’ 고속열차가 8월부터 운행된다. 경부고속철도의 경우 대전이나 동대구 중 한 곳만 정차하는 열차도 생겨 이동시간이 크게 단축될 전망이다.
국토교통부는 이런 내용이 담긴 선로배분 기본계획을 선로배분심의위원회를 거쳐 확정했다고 9일 밝혔다. 선로배분 기본계획은 한국철도공사(코레일), 에스알(SR) 등 철도운영자가 다음 해 운행계획 수립 시 고려해야 하는 가이드라인으로 매년 초 수립된다. 주요 내용은 올 하반기부터 적용된다.
정부는 고속철도 본연의 빠른 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해 무정차 열차를 선보인다. 직통 열차가 다니면 서울(수서)∼부산은 2시간 이내, 용산(수서)∼광주송정은 1시간 25분 이내에 도달할 수 있다. 경부고속철도는 대전, 동대구 중 한 곳만 서는 ‘1회 정차 열차’도 도입한다. 이를 통해 3개 이하 역에 서는 열차 비중을 현재 15%에서 20% 수준까지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무정차 열차와 1회 정차 열차는 운영자 기술검토 등을 거쳐 8월 중 구체적인 운행 횟수와 시각을 확정한다. 고속철도 정차역은 승객 수요를 분석한 결과에 따라 탄력적으로 운용할 예정이다. 시간대별 수요에 따라 많은 역에 서야 할 때는 잦은 정차 열차를 배치하고, 그 외에는 정차역을 줄이는 등 운행 행태를 수요 맞춤형으로 개선할 방침이다.
안전한 철도 운행을 위해 선로 작업시간을 충분히 확보하도록 했다. 야간 집중작업시간은 3시간 30분을 연속적으로 보장하고 운영상 미비점을 살펴보는 주간점검시간은 구간별 1시간을 확보한다.
김소연 기자
dand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