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자율화 이후 생보업계 보장성 상품 중심
신규 담보 개발·배타적 사용권 신청 크게 늘어
유병자·무해지환급형·하이브리드 종신보험 등
신규 담보 개발·배타적 사용권 신청 크게 늘어
유병자·무해지환급형·하이브리드 종신보험 등
유병자 보험, 무해지환급형 보험, 하이브리드 종신보험….
정부의 보험 자율화 조치 이후 보험업계에 신상품 개발이 봇물을 이룬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생명보험업계의 보장성 보험 상품이 크게 늘었다.
13일 보험개발원의 자료를 보면, 신상품 개발을 위한 ‘신규 담보 개발 건수’가 지난 2014년 510건에서 2015년 557건, 지난해 648건으로 2년 사이 27%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담보는 보험회사가 보험금을 지급하기로 약정한 손해를 발생시킨 위험을 말한다. 예를 들어 암보험에서는 해당 보험이 지급하기로 한 특정 암의 종류가 그 보험의 담보인 셈이다. 따라서 담보 개발 건수가 늘었다는 것은 그만큼 새로운 보험 상품이 많아졌다는 뜻이 된다.
이는 정부가 지난 2015년 10월 ‘보험업 경쟁력 강화 로드맵’을 발표한 이후 보험회사가 그간 보장하지 않았던 새로운 위험을 찾아 나섰기 때문으로 보인다. 로드맵 시행 이후 사실상 인가제였던 사전신고제가 사후보고제로 바뀌면서 보험회사가 상품개발에 더 적극적으로 나설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 것이다. 지난해 생보사들이 신상품으로서의 권리를 요구한 ‘배타적 사용권’ 신청 건수가 사상 최초로 두 자릿수(10건)를 기록하며, 관련 제도가 도입된 2001년 12월 이후 사상 최대를 기록한 것도 업계의 신상품 개발 열기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상품개발은 보장성 보험을 중심으로 활발히 진행됐다. 보험개발원 집계를 보면, 전체 담보 개발 건수에서 보장성 보험의 비중이 58.5%로, 전년 51.7%에서 6.8%포인트나 늘었다. 저금리가 장기화 되면서 저축성 보험의 매력이 떨어진 데다 새 회계기준(IFRS17) 도입을 앞두고 보험사들이 부채산정에 큰 영향을 미치는 저축성 보험 판매를 꺼리면서 상대적으로 상품 개발이 보장성 보험 쪽에 집중된 탓이다.
보장성 보험의 개발은 질병이 있는 고객을 대상으로 한 유병자 보험이 주도했다. 실버보험으로 불리는 고혈압·당뇨병 특화 보험과 가입심사가 간소화 된 간편고지 보험이 대표적이다. 이 두 보험의 신규담보 개발 건수는 2014년 31건에서 2015년 298건, 지난해에는217건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특히 2012년에 최초 도입 당시 고혈압·당뇨병 특화 보험은 생명보험회사 4개사, 간편고지 보험은 1개사만 팔았으나 지난해에는 고혈압·당뇨병 특화보험은19개사가, 간편고지 보험은 17개사가 판매에 나섰다. 유병자 보험의 개발이 활발해지면서 60대 노년층의 생명보험 가입률이 2011년 63%에서 2015년 73%로, 70대 이상은 같은 기간 25%에서 33%로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경기불황에 따른 대안으로 무(저)해지환급 상품도 급부상 중이다. 이 상품은 납입기간에 중도해지할 경우 환급금을 주지 않거나 일부만 주는 대신 보험료를 낮춘 상품이다. 무(저)해지 상품개발 건수는 2015년 5건에서 지난해 118건으로 24배나 급증했다.
사망보험금을 주는 종신보험의 경우, 단순 사망 보장에서 질병을 통합 보장하거나 연금을 제공하는 방식의 하이브리드형으로 유형이 다양해지고 있다.
생보업계 관계자는 “당국의 보험업계 자율화에 따라 기존에 보장하지 않던 새로운 담보가 계속 개발되고 있다”며 “이에 따라 소비자의 상품 선택권이 확대되고 상품에 따라 보험가입 연령층도 계속 세분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유선희 기자duck@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home01.html/
◎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
◎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