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물가 1.6%·수입물가 2.2% 하락
국제유가 상승보다 원화 강세 영향 커
환율 영향 빼면 보합 또는 소폭 상승
국제유가 상승보다 원화 강세 영향 커
환율 영향 빼면 보합 또는 소폭 상승
원-달러 환율의 하락으로 지난달 수입물가와 수출물가가 동반 하락했다.
한국은행이 14일 발표한 ‘2017년 2월 수출입물가지수’ 자료를 보면, 지난달 수입물가지수(2010=100·원화기준) 잠정치는 83.12로 1월(84.98)보다 2.2% 떨어졌다. 이는 지난 8월 이후 6개월 만의 하락이다. 지난해 9월부터 올 1월까지는 국제유가 상승 등의 영향으로 수입물가지수가 5개월 연속 상승한 바 있다.
지난달 수입물가가 내림세로 돌아선 것은 달러화 대비 원화 가치가 오른 영향으로 분석된다. 2월 원-달러 평균 환율은 1144.92원으로 1월(,185.1원)보다 3.4% 떨어졌다. 한은 관계자는 “지난달 국제유가는 상승세를 보였지만, 환율 급락이 수입물가에 더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며 “그러나 3월에는 환율이 다르게 움직일 수 있는 만큼 수입물가 하락세가 계속 이어질지 여부는 속단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지난달 수입물가를 용도별로 보면, 원재료는 광산품 등이 내려 전월보다 1.5% 내렸다. 중간재는 음식료품(-4.3%), 전기·전자기기(-3.3%) 등의 하락 폭이 컸다. 자본재 및 소비재는 각각 2.2%씩 낙폭을 보였다.
수출물가도 전월 대비 6개월 만에 내림세도 돌아섰다. 수출물가지수(잠정치)는 85.96으로 1월보다 1.6% 떨어졌다.
품목별로는 농림수산품이 2.9% 내렸고, 공산품도 1.6% 하락했다. 공산품 중에는 섬유 및 가죽제품(-3.3%), 수송장비(-3.2%), 일반기계(-2.9%), 석탄 및 석유제품(-2.0%)을 중심으로 낙폭이 컸다.
다만, 한은은 수출입물가가 계약통화(실제 계약할 때 쓰인 통화) 기준으로 보면 모두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한은 관계자는 “계약통화 기준으로 수입물가는 1월보다 0.9%, 수출물가는 1.6% 올랐다”며 “환율 영향을 제외하면 수출입물가는 전월과 엇비슷하거나 다소 상승했다“고 말했다. 유선희 기자duck@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home01.html/
◎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
◎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