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선택제 일자리 채용박람회에서 구직자들이 각 업체들의 채용공고를 살펴보고 있다. 한겨레 자료사진.
지난해 공공기관 4곳 가운데 3곳은 시간선택제 일자리 채용이 단 한건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가정 양립을 내세웠던 박근혜 정부의 양성평등 고용정책이 제대로 뿌리내리지 못했다는 방증이다.
3일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알리오) 자료를 보면, 지난해 전체 공공기관 342곳 가운데 채용형 시간선택제(비정규직 제외) 직원이 단 한명도 없는 기관이 257곳(75%)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시간선택제 일자리는 육아 등 개인 사정에 따라 근로 시간을 단축하는 방안이다. 시간선택제는 취업할 때부터 시간선택제로 근무하는 ‘채용형’과 일반적인 전일제 근로에서 시간선택제로 바꾸는 ‘전환형’으로 나뉜다. 정부는 여성의 경력단절을 막고 경제활동 참가를 늘리기 위해 시간선택제 일자리 도입을 강력하게 추진했다.
이런 정부 정책은 어느 정도 효과를 거두는 듯 했지만, 약발이 떨어지는 모양새다. 박근혜 정부 초기인 2013년 채용형 시간선택제 직원이 0명인 기관은 308곳에 달했지만, 그해 말 정부가 시간선택제 일자리 활성화 대책을 발표하면서 2014년 252곳, 2015년 245곳으로 점차 줄어들었다. 그러다 지난해 채용형 시간선택제 직원을 한명도 고용하지 않은 기관이 257곳으로 다시 늘어난 것이다. 신규 채용이 아닌 전환형 시간선택제 직원(비정규직 제외)이 0명인 기관은 2014년 232곳에서 2016년 214곳으로 점차 줄고 있지만, 여전히 전체 공공기관의 절반을 훌쩍 넘겼다.
전체 직원 수로 봐도 시간선택형 일자리의 확산은 더디게 진행됐다. 지난해 전체 공공기관의 전환형 시간선택제 직원 수는 1787명으로 2015년(2110명)보다 323명 줄었다. 채용형 시간선택제 직원은 2014년 1022명, 2015년 1305명, 2016년 1574명으로 매년 늘고는 있지만, 전체 공공기관 임직원수 28만6천여명에 비하면 미미한 수준이다.
노현웅 기자
golok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