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에 대한 정부의 지원방안 발표를 앞둔 지난 3월 23일 오전 경남 거제시 아주동 대우조선해양 옥포조선소 서문으로 직원들이 출근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올해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활용해 ‘수주 절벽’ 등으로 극심한 침체에 빠져 있는 울산·거제 등 조선업 밀집지역의 재기를 돕는다.
산업통상자원부·기획재정부·고용노동부·해양수산부·금융위원회 등 6개 부처는 7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부산·울산·전북·전남·경남 등 5개 시·도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조선업 밀집지역 위기극복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서 정부는 올해 추경예산 중 80억원(잠정)을 활용해 조선업 실직자 교육·재취업과 조선 기자재 국제인증·수출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퇴직인력 교육·재취업에는 75억원, 기자재 협력업체의 수출 및 사업 다각화를 위한 국제인증에는 7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또 지난해 10월에 내놓은 ‘조선밀집지역 경제활성화 방안’에 따라 올해 사업 다각화에 2400억원의 국비를 지원해 200개 이상의 조선협력업체를 돕기로 했다. 연구개발(R&D)비(50억원), 사업화 지원금(45억원), 투자보조금(1106억원), 사업전환자금(1250억원) 등으로 쓰인다.
지난 1월 말 기준으로 전국 5개 조선밀집지역에 예정된 신규 민간투자는 올해 4조원을 포함해 2020년까지 모두 15조원에 이른다. 부산?울산?경남에 석유화학, 기계, 항공 등 9조원, 전북·전남에 태양광, 해상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6조원 등으로, 정부는 이 민간투자 프로젝트를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조계완 기자
kyewa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