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금연휴에도 불구하고 지난달 소비심리가 오히려 위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을 뒤덮은 미세먼지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서비스업 생산이 7개월만에 감소세로 돌아서면서 전체 산업생산도 두달 연속 감소했다.
30일 통계청이 발표한 ‘5월 산업활동동향’을 보면, 지난달 소매판매는 전달보다 0.9% 감소했다. 소매판매는 올해 1월 -2.1%, 2월 3.2%, 3월 -0.3%, 4월 0.7%를 기록하는 등 등락을 거듭하고 있다. 품목별 보면 화장품 등 비내구재 판매는 0.2% 증가했지만, 통신기기 및 컴퓨터 등 내구재(-1.2%)와 의복 등 준내구재(-3.3%)가 감소한 탓이었다. 5월초 최대 11일까지 이어지는 황금연휴로 소비 활성화가 기대됐지만, 정반대 결과가 나온 것이다. 통계청은 미세먼지 탓에 야외 활동이 줄어 전반적인 소비가 줄어든 것으로 분석했다.
산업 생산도 전달보다 0.3% 줄어, 두달째 감소세를 이어갔다. 전달 감소했던 광공업 생산은 반도체·전자부품 등 주요 품목이 반등하면서 0.3% 증가했다. 반도체 생산은 전달보다 9.1%나 늘었고, 전자부품도 4.7% 상승세를 보였다. 반도체 수출 호황이 계속해서 제조업 생산을 끌어올리고 있는 셈이다. 그러나 서비스업(-0.3%), 건설업(-1.6%), 공공행정(-0.3%) 등이 일제히 감소했다. 특히 서비스는 7개월 만에 감소세로 돌아섰다. 서비스업 생산은 출판·영상·방송통신·정보(-3.9%), 도·소매(-1.3%) 등이 크게 떨어졌다.
설비투자는 운송장비 투자가 줄었으나 기계류 투자가 늘어 전달보다 1.8% 증가했다. 이미 이뤄진 공사실적을 의미하는 건설기성은 1.6% 줄었다.
어운선 통계청 산업동향과장은 “전달 서비스업 생산과 소매판매가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해 기저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노현웅 기자
goloke@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