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부 점검 결과…부정채용 소지 있는 합격자 6개 기관 39명 달해
중소벤처기업부 산하기관의 인사채용 과정에 부적절한 관행이 만연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26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의 이찬열 의원(국민의당)이 중소벤처기업부로부터 제출받은 ‘산하기관 채용비리 전수조사 및 결과’를 보면, 지금까지 점검을 마무리한 8곳 가운데 7곳에서 부적절한 채용 관행이 적발됐다. 규정에 맞지 않는 절차 등으로 부정 채용의 소지가 있는 최종합격자는 6개 기관의 39명으로 나타났다.
각 기관별 사례를 보면,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은 각 전형별 평가항목·합산기준·선정기준 등을 채용 때마다 달리 적용하거나 평가결과가 나온 뒤에야 결정하는 등 객관성과 일관성 부족이 지적됐다. 신용보증재단중앙회의 경우 자체 인사규정인 ‘직원채용 자격요건’에는 관련 분야 경력자만 응시할 수 있도록 해놓고서도 실제로는 비경력자도 채용했다. 또 각 전형 단계별 평가점수를 합산해 최종합격자를 결정해야 하는데도 최종 면접평가 점수만으로 합격자를 결정한 사례도 적발됐다.
중소기업유통센터는 ‘이해관계자 제척절차’에 대한 규정이 없고, 채용심사위원들이 평가점수 합계표를 작성도 하지 않아 오류 검증이나 사후검증 절차가 없었다. 한국벤처투자는 인턴 채용 때 근거없는 가점을 적용한 사례로 문제로 지적됐다. 대·중소기업협력재단은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사전계획도 없이 다섯차례 공개채용을 했는데 한번을 제외하고는 모두 서류·필기·면접의 평가표를 보관하지 않았다. 또 특별채용을 하는 과정에 위원장 및 사무총장의 면접만으로 채용이 이뤄지기도 했다.
중소기업진흥공단은 청년인턴 근무경력자에 대한 추가적 가점부여 및 내부 평가위원만으로 진행되는 면접방식이 채용 특혜 문제를 야기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받았다. 중소기업연구원은 비상임이사를 공개경쟁 없이 감사위원회 이사장이 추천한 이를 그대로 선임한 것이 드러났다. 이찬열 의원은 “중기부는 채용과 관련된 명확한 가이드라인 등을 만들어 산하기관에 배포하고, 해당 기준이 엄격하게 지켜지는지 상시 감사제도를 안착시켜 채용부정의 뿌리를 뽑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순빈 선임기자 sbpar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