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1일 오후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판교창조경제밸리 기업지원허브를 방문해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 백운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남경필 경기도지사 등 확대 경제관계장관회의 참석자들과 드론 비행 시연을 관람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주거뿐 아니라 혁신성장을 위해서도 공공임대를 대폭 확충하기로 했다. 이런 공간 지원을 바탕으로 성공한 벤처기업이 후배 창업기업을 체계적으로 지원해 상생을 이루도록 할 방침이다. 국토교통부와 중소벤처기업부, 기획재정부는 11일 판교 제2테크노밸리 기업지원허브에서 확대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어, 이런 내용을 뼈대로 한 ‘판교 제2테크노밸리(2밸리) 활성화 방안’을 확정했다. 2밸리는 기존 ‘판교 테크노밸리’(1밸리)의 북쪽 43만㎡ 부지에 조성되는 벤처 단지로 서쪽 부지의 1단계(20만㎡), 동쪽 부지의 2단계(23만㎡)가 2022년까지 단계적으로 만들어진다. 2밸리는 박근혜 정부에서 ‘창조경제밸리’라는 이름으로 추진돼온 것으로 이번에 이름을 바꾸고 사업 내용도 공적 임대공간 확대 등 문재인 정부 경제철학을 반영하는 쪽으로 바뀌었다. 가장 두드러진 변화는 공공임대 창업 공간이 대폭 늘었다는 점이다. 기존 계획에선 공공임대 공간이 기업지원허브와 기업성장센터 2개동 등 전체 4개동 500곳 수준에 그쳤고, 나머지는 대부분 민간 분양사업 위주였다. 앞으로는 여기에 기업성장센터(3개), 소프트웨어드림센터, 아이시티(ICT)융합센터가 추가돼 총 1200곳으로 확대된다. 먼저 준공돼 이달부터 입주가 이뤄지고 있는 기업지원허브의 경우 창업기업은 시세의 20% 수준인 3.3㎡당 1만원에 입주할 수 있고, 창업 1년에서 7년차 기업까지는 시세의 40~80% 비용으로 공간을 임대할 수 있다. 또 약 12만㎡ 수준으로 조성될 벤처타운의 경우, 부지를 분양받은 기업들은 분양 면적의 30%(4만㎡)를 10년간 후배 창업기업에 무상지원해 약 200개 창업기업에 공간을 지원할 계획이다.
정부가 창업기업에 대한 공적임대 확대를 추진하는 이유는 비싼 임대료 등이 창업기업의 성장을 가로막는 걸림돌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국토부가 올초 실시한 임차기업 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비제조업 기업들이 가장 많이 꼽는 어려움은 임대료(45.6%)였고, 두번째는 짧은 임대기간(35.2%)이었다. 제조업 역시 임대료(32.4%)와 임대기간(26.8%)이 가장 큰 애로점이었다. 성공한 벤처기업과 새로 창업한 기업 간 협력을 강화하는 방안도 나왔다. 벤처타운에 들어올 선도 벤처기업들은 후배 창업기업에게 투자유치와 멘토링, 장비지원 등 체계적인 지원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전문 액셀러레이터를 설립해야 한다. 액셀러레이터는 초기 창업자를 선발하고 투자·육성하는 일종의 창업기획사다. 정부는 분양 공모시 창업기업 지원 프로그램 등 상생·협력 방안을 주요하게 반영할 방침이다.
아울러 정부는 창업부터 성장, 재도전까지 전 주기에 걸친 종합 지원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했다. 창업진흥원이 내년부터 기업지원허브 내 창업존에서 정부의 연구개발·재정 지원 사업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고, 2021년까지 종합금융지원존을 조성해 자금조달과 금융 컨설팅을 제공하며 한번 실패를 맛본 기업들을 위한 재도전·재창업 특화 공간도 만들어 실패해도 재도전할 수 있는 지원시스템을 구축할 방침이다. 또 기술탈취 방지 등 중소 창업기업에 대한 보호제도도 강화하기로 해, 좋은 기술이나 아이디어를 가지고도 대기업 갑질에 피해를 보는 일을 막겠다는 계획이다.
허승 기자
raison@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