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이 구형 아이폰의 ‘고의 성능 저하’ 문제에 대해 공식 사과문을 발표하고 배터리 교체 비용 일부를 지원하기로 했다. 하지만 한국 아이폰 사용자들의 집단 소송 참여 신청자는 신청 이틀 만에 3만명에 육박했다.
애플은 28일(현지시간) 공식 누리집에 ‘
아이폰 배터리에 대해 고객에 드리는 글’을 올리고 “고객을 실망시켜 사과드린다”고 썼다. 애플은 “어떤 경우든 고의로 제품 수명을 단축 시키거나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았다”며 이른바 ‘배터리 게이트’는 “오해”라고 말했다. 또 “애플의 목표는 고객들이 사랑하는 제품을 만들고 가능한 오래 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고 강조했다.
애플은 아울러 내년 1월부터 12월까지 ‘아이폰 6’ 이상 사용자 가운데 보증기간이 만료된 경우 배터리를 29달러에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계획도 밝혔다. 기존 교체 비용 79달러에서 50달러를 지원하는 셈이다. 또 사용자가 배터리 상태를 보다 자세히 알 수 있도록 내년 초 iOS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하겠다고 밝혔다. 애플은 이번 지원안이 “고객의 우려를 해소하고 우리의 의도를 의심하는 이들의 신뢰를 다시 얻기 위해서 마련됐다”고 설명했다.
앞서 애플은 구형 아이폰 성능 저하 논란이 번지자 지난 20일 “리튬이온 배터리는 주변 온도가 낮거나, 충전이 덜 됐거나, 노후한 상태일 때 기기를 보호하느라 갑자기 전원이 꺼질 수도 있어 이런 현상을 막기 위해 성능 저하 기능을 도입했다”는 입장을 밝혀 ‘고의 성능 저하’를 사실상 인정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한편, 애플 본사와 애플코리아를 상대로 한 집단소송 참여신청자가 29일 오전 9시48분 기준 2만9000명을 돌파했다. 아이폰 한국 사용자를 위한 집단소송을 준비 중인 법무법인 한누리 조계창 변호사는 <한겨레>와 통화에서 “28일 오전 10시 접수를 시작해 9시간 만에 1만명을 돌파했다. 29일에는 누적 신청자가 4만명을 넘길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법무법인 한누리는 내년 1월11일까지 신청을 받아 2월 초 본격적인 법적 조처에 들어갈 계획이다.
28일 애플이 발표한 지원안에 대해 조 변호사는 “아이폰 사용자들의 피해 정도에 비춰보면 보상 수준이 미진하다. 집단소송은 그대로 진행할 계획이다. 다만, 구체적인 소송 방식을 정할 때 여러 변수 중 하나로 종합적으로 고려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유진 기자
yjl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