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 1월 17일 용인시 기흥구 현대자동차그룹 환경기술연구소를 방문해 정의선 부회장과 수소전기차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와 산업계가 합동으로 한번 충전으로 서울에서 부산까지 갈 수 있는 전기차를 개발하기로 했다. 2022년까지 전국 주유소 숫자와 맞먹는 급속 충전소 1만기를 보급하고 전국 고속도로 5천㎞와 주요 도심에 스마트 자율주행 정밀지도 등 인프라를 구축한다.
산업통상자원부와 국토교통부는 2일 판교 기업지원 허브에서 ‘미래차 산업 간담회’를 열고 전기차 대중화 시대 조기 개막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 내용을 담은 ‘미래차 산업 발전전략’ 방안을 문재인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이를 위해 2022년까지 5년간 전기·자율주행차 등 미래차 분야에 민관 합동으로 35조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정부는 1회 충전으로 500㎞ 이상 달릴 수 있는 전기차와 충전 속도가 2배 이상 빠른 ‘슈퍼차저’ 충전기술을 개발하고 급속 충전기를 매년 1500기씩 설치해 2022년까지 전국 주유소(1만2천개) 숫자와 비슷한 수준인 1만기를 확충한다. 자율주행의 기초자료가 되는 정밀도로지도(현재 약 1350㎞ 제작)는 전국 고속도로와 주요 도심 등 5500㎞에 걸쳐 2020년까지 조기 구축한다.
서울·제주를 시작으로 주요 도심에 ‘스마트 도로’를 구축한다. 2022년까지 전국 고속도로 5천㎞를 스마트화해 실시간으로 주변 정보를 자율주행차에 제공하고 차량간 통신을 가능하도록 하는 등 자율주행 인프라를 구축한다. 전기차 구매 보조금을 2022년까지 유지하고 올해 5개 안팎의 지자체를 선정해 버스·택시·소형트럭을 2019년부터 전기차로 연평균 10%씩 교체해 2030년까지 전기차 전환을 완료하기로 했다. 고속도로·도심·교외·주차시설·커뮤니티 등 5개 주행 환경을 재현한 자율주행 테스트베드 ‘케이-시티’(32만㎡ 규모)도 올해 완공한다.
자동차 생산 경험이 없는 정보기술(IT) 기업도 미래차 사업에 진출할 수 있도록 생산을 대행하는 ‘자동차 제작 서비스 전문기업’을 육성하고, 개방형 전기·자율주행차 플랫폼을 개발해 중소·벤처기업에 제공할 계획이다. 오는 6월에는 서울 영동대로와 강남운전면허시험장에서 자율주행차 시연·시승 및 면허시험코스 통과 행사를 열고, 10월부터 인천공항 제2터미널과 장기주차장을 연결하는 자율주행 셔틀버스 시범운영을 시작할 계획이다.
조계완 기자
kyewa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