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경기 성장률이 3%대를 회복하면서 가계의 실질소득과 소득분배지표가 2년여 만에 모두 나아졌다. 가계 명목소득이 많이 증가하면서, 실질소득이 9분기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고, 저소득층 소득이 큰 폭으로 늘어나 분배지표도 8분기 만에 개선됐다. ‘가처분소득 증대→소비 증가→생산·투자 확대’의 경로로 경제를 살리겠다는 문재인 정부의 소득주도 성장이 힘을 얻게 됐다.
22일 통계청이 집계한 ‘2017년 4분기 가계동향’을 보면, 전국 2인 이상 가구의 월평균 명목임금은 444만5156원으로 한 해 전(431만2029원)보다 3.1% 증가했다. 명목임금 증가율이 3%대로 올라서면, 물가소득을 고려한 실질소득은 431만3591원으로 1년 전보다 1.6% 늘어났다. 2015년 4분기 이후 8분기 연속 감소세를 보이다가 9분기 만에 증가세로 돌아선 것이다.
소득유형별(명목임금)로 보면 경상소득(근로·사업소득 등 일상적 경제활동으로 정기적으로 얻는 소득)은 지난해 같은 분기보다 3.4% 증가한 436만606원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근로소득은 293만1672원으로 1년 전보다 0.9% 늘어나는 데 그쳤다. 반면 사업소득은 8.5%, 재산소득은 9.5% 각각 증가했다.
소득 상위 20% 계층(5분위)의 소득이 하위 20% 계층(1분위)에 견줘 몇 배나 되는지를 보여주는 소득 5분위 배율(가처분소득 기준)은 4분기에 4.61배로 지난해 4분기(4.63배)보다 호전됐다. 전년 동기와 비교한 소득 5분위 배율은 지난해 1분기부터 올해 3분까지 7분기 연속 지표가 악화되다가 개선된 것이다.
소득 불평등이 다소 개선된 이유는 소득 하위 20%인 1분위 소득(150만4천원)이 한 해 전보다 10.2%나 증가한 때문이다. 이는 2010년 1분기(11.9%) 이후 약 8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것이다. 특히 1분위 근로소득은 20.7%나 늘어나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03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반면 상위 20%인 5분위 소득은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2.1% 증가한 845만원으로 집계됐다. 증가 폭이 3분기(4.7%)의 절반 수준에도 못 미친 것이다.
정은주 기자
eju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