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개혁연대가 유죄 판결에도 불구하고 이사직을 유지하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의 이사직 사퇴를 요구했다.
경제개혁연대는 15일 ‘삼성전자 이재용 부회장?롯데 신동빈 회장, 모든 이사직에서 사임해야’라는 제목의 논평을 내어 이들의 사퇴를 요구했다. 이 부회장과 신 회장이 이사로 있는 삼성전자와 롯데쇼핑 등의 주주총회가 23일로 예정된 상황에서 두 경영자의 결단을 요구한 것이다.
경제개혁연대는 “박근혜 전 대통령 국정농단 사건에서 뇌물공여 등 혐의로 재판 중인 이 부회장과 신 회장이 유죄 판결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계열사 이사직을 고수하려는 것은 자신의 과오에 대한 최소한의 반성조차 없음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이 부회장과 신 회장은 더 이상 회사 경영에 걸림돌이 되지 않도록 모든 이사직에서 즉각 사임할 것을 촉구한다”고 주장했다.
삼성전자는 23일 주주총회를 앞두고 2심에서 유죄를 선고받은 이 부회장(사내이사)의 거취에 대해 별다른 입장 표명을 하지 않고 있다. 같은 날 주주총회를 여는 롯데쇼핑과 롯데제과는 1심에서 유죄 판결로 법정 구속된 신 회장에 대한 이사 재선임안을 상정했다. 롯데그룹의 다른 계열사도 신 회장의 거취에 대한 입장표명이 없는 상황이다.
경제개혁연대는 “이 부회장은 지난 1년간 경영 공백을 핑계로 ‘옥중경영’을 했고, 신 회장은 일본 계열사 대표이사직은 사임하면서 국내 계열사 이사직은 그대로 유지하는 이중적인 모습을 드러냈다”며 “언제까지 회사를 볼모로 자신의 무죄 또는 선처를 주장할 것인가”라고 밝혔다. 실제 이 부회장은 지난해 2월부터 1년 동안 교도소에서 삼성전자의 주요 현안을 보고받는 등 옥중경영을 해왔으며, 삼성전자 등은 이 부회장의 부재로 회사 경영이 어렵다는 점을 강조해 왔다. 또 신 회장은 경영진이 비리 등 사유로 실형을 선고받을 경우 사임하는 일본 관례에 따라 일본 롯데홀딩스 대표이사직에서 사임했지만, 국내 롯데 계열사의 이사직은 유지하고 있다.
경제개혁연대는 “회사와 관련해 유죄를 선고받은 경영진의 경우 회사 이사직에서 즉각 사임하는 것이 책임경영의 핵심이고, 비리가 반복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방안”이라며 “이는 총수일가라 하더라도 다르지 않으며, 오히려 총수일가만 예외적으로 이사직을 그대로 유지하는 관행은 회사를 사유화하고 있다는 방증이자 지배구조의 후진성을 드러내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최현준 기자
haojune@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