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중공업이 건조한 LNG선. 삼성중공업 제공
국제 해운업계가 선박이 내뿜는 탄소배출가스를 2050년까지 ‘2008년 기준 최소 50% 감축’하는 목표에 합의했다.
13일(현지시각) 영국 런던에서 열린 국제해사기구(IMO) 총회에서 172개 회원국들은 전세계 선박들이 벙커씨(C)유 등 주로 화석연료에서 내뿜는 탄소 배출가스를 2050년까지 최소한 50%(2008년 기준) 감축하는 데 합의했다. 이에 따라 해상에서 글로벌 무역을 담당하고 있는 전세계 5만여척의 선박은 기존 화석연료 사용을 중단하고 앞으로 전기배터리·수소 재생연료·바이오에너지 등으로 전환해야 한다. 국제해사기구는 유엔(UN) 산하기구로, 한국은 주요 이사국으로 참여하고 있다. 이번 합의에 대해 데이비드 폴 먀살군도 환경장관은 “전세계 해운·조선업계가 저탄소 미래라는 새로운 항해를 막 시작하게 됐다”고 말했다.
전세계 26개국에서 활동하는 ‘기후변화 분야 커뮤니케이션 전문가 네트워크’(GSCC)는 “기후변화에 미온적이었던 해운업계가 사상 최초로 장기 온실가스 감축 목표 수립에 합의한 것”이라며 “이 목표를 달성하려면 2030년부터 새로 건조되는 선박은 탄소를 전혀 배출하지 않는 재생가능에너지로 항해할 수 있어야 한다”고 요구했다. 기후변화 네트워크에 따르면, 전세계 선박은 지구 온실가스 배출의 약 3%를 차지할 만큼 큰 오염원이며, 국가 단위로 환산하면 탄소배출량이 세계 6위국에 해당한다.
환경운동연합은 “그동안 원양 선박에서 차량 디젤유보다 무려 3500배 높은 황을 함유한 벙커씨유 등 저질 연료를 주로 사용해왔다”며 “탄소 감축 책임을 회피해왔던 해운 부문에서 구속력 있는 탄소감축 규제가 마련됐다”고 말했다. 기후 전문가들은 ‘지구 평균온도 상승을 산업화 이전보다 1.5~2℃ 이내로 억제하자’는 2015년 파리 기후협정 공동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국제해운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2050년까지 2008년 대비 70~100%까지 감축해야 한다고 요구해왔다.
선박 탄소배출을 둘러싼 국제 규제가 마련됨에 따라 해운업계는 벙커씨유 추진 선박 퇴출, 노후선박 교체, 친환경 액화천연가스(LNG) 추진선으로의 전환 작업을 더욱 앞당겨야 하게 됐다. 조선업에서는 청정 선박기술 도입과 친환경 선박 건조수요 증가가 기대된다. 조계완 기자
kyewa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