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영중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 상임부회장이 선임된 지 두 달 만에 진퇴의 기로에 서게 됐다.
경총은 11일 '최근 사무국 내부 분란 보도에 대한 경총 입장'을 내고 "송영중 상임부회장에 대한 거취는 회원사들과 충분한 논의를 거쳐서 결정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송 부회장의 거취 논란은 최저임금 산입범위 조정 논의 과정의 논란, 경총 사무국 직원들과의 갈등설, 재택근무 논란 등이 도화선이 됐다. 경총 “지금은 최저임금 결정, 주 최대 52시간 근무제도 도입 등으로 풀어야 할 숙제가 많은 중요한 시기”라며 “상임부회장이 사무실에 나오지 않아서야 되겠느냐”고 지적했다.
송 부회장은 노무현 정부 당시 노동부 근로기준국장과 산업안전국장, 고용정책본부장 등을 지냈으며, 4월 경총 부회장에 선임됐다. 그러나 사용자 입장을 대변하는 조직인 경총 상근부회장에 관료 출신이 임명된 것은 모양새가 이상하다는 우려가 일각에서 제기됐다. 이런 가운데 5월 국회 환경노동위원회가 최저임금 산입범위를 조정하는 문제를 논의하는 과정에서 경총이 한국노총·민주노총 등과 공동보조를 취하면서 논란이 커졌다. 최저임금 산입범위 조정 문제를 국회 상임위가 아닌 최저임금위원회로 되돌려 논의하자는 노동계 입장에 경총이 동조한 셈이 됐기 때문이다. 경총은 논란이 불거지자 하루 만에 국회에서 논의하자고 입장을 번복했다.
송 부회장은 이날 손경식 경총 회장을 만나 경총의 현안 해결에 적극적으로 나서겠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송 부회장은 또 "지금은 최저임금 결정, 근로시간 단축 등으로 재계에 매우 중요한 시기"라며 "이런 문제들을 해결해야 할 책임을 회피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곽정수 선임기자
jskwak@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