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사회 삶의 질이 10년 전에 견줘 가족·공동체 분야에서는 오히려 퇴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통계청 지표를 바탕으로 한국 삶의 질 학회가 분석한 2016년 ‘국민 삶의 질 영역별 종합지수’(삶의 질 종합지수)를 보면, 2006년을 100으로 놓았을 때 2016년 가족·공동체 영역의 종합지수는 97.8로 10년 전보다 오히려 뒷걸음질 친 것으로 나타나다. 이 지수를 구성하는 지표들 가운데 자살률이나 사회적 관계망, 사회단체 참여율 등은 나아졌지만, 독거노인 비율(17.5%→18.7%), 한부모가구 비율(8.8%→10.8%) 등이 늘어난 영향이다. 삶의 질 종합지수는 가족·공동체를 비롯해, 소득·소비·자산, 고용·임금, 사회복지 등 12개 영역에 대해 각 영역과 연관된 통계청 지표를 활용해 2006년과 2016년의 삶의 질 변화를 비교해 작성됐다.
10년전보다 상황이 악화되진 않았지만 주거(103.7), 고용·임금(104.5) 등의 삶의 질 개선은 더뎠다. 주거의 경우 주관적지표인 주거환경 만족도는 다소 올랐지만 주거 비용이나 통근·통학 시간이 늘어난 부분이 악영향을 끼쳤다. 고용·임금 영역의 경우 평균 근로소득이 늘고 근로시간이 줄어드는 등 긍정적 변화도 있었지만 상대적 저임금 노동자 비율이 10년전보다 늘어난 것이 지표 개선폭을 제한한 것으로 풀이된다.
12개 영역 가운데 종합지수가 가장 많이 상승한 영역은 안전(128.9) 이었다. 강력범죄 발생률, 도로사망률 등의 객관적지표와 사회안전에 대한 주관적 평가 등이 나아졌다. 이밖에 교육(120.6), 소득·소비(118.1), 사회복지(116.5) 등도 10년 전과 비교해서는 나아진 모습이었다.
다만 12개 모든 영역의 지수는 2006년을 기준(100)으로 2016년 1인당 실질 GDP를 삶의 질과 마찬가지로 지수화한 수준( 131.18)에는 미치지 못했다. 경제성장에 견줘 삶의 질의 개선속도는 더뎠던 셈이다.
방준호 기자
whoru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