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용만 대한상의 회장이 18일 제주 신라호텔에서 열린 ‘제43회 대한상의 제주포럼’ 개막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대한상의 제공
박용만 대한상의 회장이 한국경제가 하향곡선에서 탈출하기 위해서는 개혁·성장정책의 조합, 규제 개혁, 일하는 방식의 변화 등 3가지를 선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회장은 18일 제주 신라호텔에서 열린 ‘대한상의 제주포럼’ 개회사를 통해 “한국경제의 구조적이고 장기적인 하향 추세를 되돌리기 위한 노력에 국가적 역량을 모아야 한다”면서 폐쇄적인 규제환경, 경제 편중, 한계에 이른 제조업의 일자리 창출, 진입로 막힌 서비스산업, 높은 기득권 장벽, 중소기업의 낮은 경쟁력, 저출산 등을 구조적 문제로 꼽았다. 박 회장은 “이런 문제에 대한 근본 처방 없이는 거시지표 경고음은 계속되고 소모적 논란, 경제 내리막길의 악순환이 반복될 것”이라고 경고하며 “경제와 산업, 기업의 미래를 위한 3가지 선택에 나서자”고 제안했다.
박 회장은 한국경제를 자전거 타기에 비유한다면 개혁의 방향이라는 핸들은 제대로 잡았으니, 이제 성장이라는 페달을 힘차게 돌려야 한국경제가 앞으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라며 개혁과 성장정책의 조화를 강조했다. 또 “폐쇄적인 규제환경 속에서 오랫동안 지내다 보니 국제기준에서 얼마나 벗어나 있는지 무덤덤해졌다”면서 “곳곳에 위치한 기득권의 벽을 허물기 위한 공론화 과정을 서두르고, 정부가 국회와 협력해서 규제 총량 관리 같은 제도적 장치를 검토해야 하며, 기업들도 법과 규제에 앞서 선진 규범을 세우고 실천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일하는 방식과 관련해 “넥타이를 풀고 청바지를 입는 외형적 변화보다 마음가짐부터 바꿔야 한다”며 “의사결정 구조, 업무방식, 인재육성, 리더쉽 모델에 이르는 전 과정을 바꿔야 혁신이 촉진된다”고 강조했다.
올해로 43회째를 맞는 대한상의 제주포럼은 역대 최대인 700여명의 기업인이 참석한 가운데 20일까지 열린다. 백운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산업혁신을 통한 도전과 기회’를 주제로 강연을 하고, 유시민 전 보건복지부 장관, 애플의 ‘아이(i)’ 시리즈를 탄생시킨 주역인 켄 시걸 전 애플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등의 강연도 예정돼 있다.
곽정수 선임기자
jskwak@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