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산업 생산지수 전달보다 0.5%↑
소매판매액지수 0.5%↑올랐지만
설비투자지수 감소 20년만에 최장
동행지수·선행지수도 동반하락
“반도체 호황 사이클 끝나는 영향”
“정부, 하강국면 대응을” 지적 속
통계청 “긍정 지표도 있어 판단 일러”
소매판매액지수 0.5%↑올랐지만
설비투자지수 감소 20년만에 최장
동행지수·선행지수도 동반하락
“반도체 호황 사이클 끝나는 영향”
“정부, 하강국면 대응을” 지적 속
통계청 “긍정 지표도 있어 판단 일러”
7월 산업생산이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지만, 설비투자는 다섯달 연속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경기 상황과 향후 경기 국면을 보여주는 지표도 나란히 하락했다. 경기변동의 진폭이 크지 않고 단기적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고 있다는 진단이 나오는 가운데, 일부에선 중장기 경기순환주기상 하강 국면에 진입한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31일 통계청이 발표한 ‘7월 산업활동동향’을 보면, 지난달 전산업 생산지수는 전달인 6월보다 0.5% 증가했다. 6월에 0.7% 감소했다가 7월 다시 반등한 것이다. 광공업 생산이 기타운송장비와 화학제품 등의 호조로 0.4% 늘었고, 제조업 평균가동률도 74.3%로 전달보다 0.9%포인트 올랐다. 소비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액지수는 전달보다 0.5% 증가하며, 6월에 이어 증가세를 이어갔다.
반면에 설비투자지수는 전달보다 0.6% 감소하면서 다섯달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선박 등 운송장비가 7.4% 늘었지만 특수산업용 기계 등 기계류 투자가 3.9% 감소했다. 다섯달 연속 설비투자가 마이너스를 보인 것은 외환위기 당시였던 1997년 9월부터 1998년 6월까지 10개월 연속 감소한 이후 20년 만에 최장 기간이다.
현재의 경기흐름을 보여주는 동행지수와 앞으로의 경기를 예측하는 선행지수도 동반 하락했다.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전달보다 0.3포인트 떨어져 99.1을 기록하며 4개월 연속 하락했다. 100보다 작으면 현재 경기가 하강 국면이라는 뜻이다. 앞으로의 경기를 예측하는 지표인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전달보다 0.2포인트 낮아진 99.8을 기록했다. 선행지수 순환변동치가 100 밑으로 떨어진 건 2016년 8월 이후 1년11개월 만이다.
투자 지표가 악화된 데는 반도체의 영향이 크다. 지금까지 우리 경제의 생산 및 투자는 반도체가 이끌어왔는데, 세계 반도체 시장 장기호황주기(슈퍼사이클)의 종료가 임박했다는 관측이 나오고 실제 그에 따른 파장이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지난해 설비투자에서 반도체 제조용 기계가 차지하는 비중은 약 22%에 이르는데, 7월에 이 종목의 설비투자는 한해 전보다 39.6%나 감소했다. 어운선 통계청 산업동향과장은 “주요 반도체업체가 1년 반 정도에 걸쳐 설비투자를 대규모로 늘리다가 올해 4월쯤 설비증설이 마무리 단계에 들어가며 둔화했다”고 설명했다.
일부에선 우리 경제가 경기순환주기상 정점을 찍고 하강 국면에 접어든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성태윤 연세대 교수(경제학)는 “생산이 약간 늘었지만, 투자 감소가 장기간 이어지고 동행지수 순환변동치와 선행지수 순환변동치가 모두 나빠지고 있다”며 “하강 국면이라는 것이 거의 확연해 보이는 만큼 정부가 이런 상황에 맞는 정책적 대응에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어운선 과장은 “현재 긍정적 지표가 혼재하므로 경기가 하강 국면에 들어선 것으로 통계청이 공식 판단하기에는 이르다”고 말했다. 통계청은 경기지표들을 토대로 우리 경제의 순환주기를 발표한다. 2013년 3월 저점을 찍은 이후 5년 넘게 공식적으로는 상승 국면인 상황이다. 어 과장은 “과거와 달리 지금은 큰 변동 없이 단기적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고 있어 지금이 고점이라고 말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근태 엘지(LG)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지난해에 비해 우리 경제의 힘이 많이 빠진 것은 사실이지만, 과거와 달리 세계 금융위기 이후에는 세계 경제나 우리 경제나 경기 변동 폭이 크지 않은 상태가 지속되고 있어 현재 경기가 상승 국면이냐 하강 국면이냐 단정짓기는 어렵다”며 “지금을 심각한 경기위축 국면으로 규정하고 대대적 부양책을 쓰기보다는 고용 등 취약 부분에 정책 초점을 맞추는 한편, 장기적인 성장기반을 마련할 수 있는 저출산 대책, 규제 합리화 등 구조적인 대책에 초점을 두는 게 바람직하다”고 했다.
허승 조계완 기자 raiso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