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이 7일 서울 강서구 엘켐텍 사옥에서 수소경제 분야 현장소통 간담회를 진행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최근 정부와 청와대, 더불어민주당이 논의하고 있는 부동산 대책과 관련해 “쫓기 듯 대책을 내놓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의견을 밝혔다.
7일 김 부총리는 서울 강서구 수소생산업체 엘켐텍 사옥에서 ‘수소경제 분야 혁신성장 현장소통 간담회’를 연 뒤 기자들과 만나 이같은 의견을 밝혔다. 김 부총리는 최근 서울 지역 집 값 오름세에 따른 추가 부동산 대책에 대해 “쫓기듯이 대책을 마련하는 것은 바람직한 것이 아니”라며 “관계부처와 함께 차분히 대책을 준비중이고 조율을 마치고 결론이 나면 적절한 창구를 통해 원보이스로 말하겠다”고 밝혔다. 최근 서울 아파트 값 급등세가 지속되며 ‘추석 전 발표’를 목표로 했던 부동산 대책 발표가 이르면 다음주 초까지 앞당겨 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던 상황에서, 좀 더 차분히 대책 마련에 나서겠다는 뜻을 밝힌 것이다. 이어 그는 “관계부처에서도 각자가 의욕에 넘쳐 이야기하는 것은 이해하지만 국민이나 시장 혼란을 일으킬 수 있는 메시지를 자제해달라고 부탁드렸다”고 덧붙였다. 최근 당과 정부부처, 청와대 사이에서 정리되지 않은 부동산 시장 관련 메시지가 흘러나오는 데 대해 경계감을 표현한 것이다.
김 부총리는 최근 집 값 상승에 대해서 “일부 투기적 수요와 거기 편승한 불안심리가 작용한 것 같다”고 분석하며 “유동성이 (부동산 가격 급등에)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는 봐야겠지만 수소경제와 같은 건전한 투자 쪽으로 (유동성이) 갈 수 있도록 하는 정책 노력을 해야겠다”고 말했다. 종합부동산세 추가 개편과 관련해서는 “보유세를 포함한 세금이 부동산 안정 목적만 가진 것은 아니지만 그런 긍정적 효과도 기대한다”며 “재정개혁특위 제안을 바탕으로 정부가 충분히 검토해 정부법안이 국회에 넘어가 심의를 기다리고 있는만큼 심의과정에서 논의할 수 있으리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방준호 기자 whoru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