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과 홍종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일자리 연계형 지원주택 추진방안’에 대한 업무협약서에 서명하고 교환한 뒤 악수를 하고 있다. 중기부 제공
정부가 중소기업 재직자와 전국 산업단지에 거주하는 노동자 등에게 2022년까지 공공주택 4만채를 공급하고,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조성된 공공임대상가를 소상공인 사무실과 청년들에게 창업공간으로 집중 제공하기로 했다.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과 홍종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12일 경기도 화성시 동탄산단형 행복주택의 작은도서관에서 이런 내용을 뼈대로 한 ‘중소기업 일자리 연계형 지원주택 추진 방안’을 발표하고, 두 부처 간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을 보면, 우선 국토부는 중소기업 재직자를 대상으로 한 전용주택, 청년 창업가 지원주택, 산업단지 거주 노동자용 행복주택 등의 형태로 2022년까지 공공주택 4만채 공급을 추진한다. 이 가운데 3만채는 2022년까지 입주를 완료하고, 나머지 1만채는 부지 선정과 사업승인까지 마무리하기로 했다. 중기부는 국토부의 사업 추진이 차질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중소기업이 보유한 토지 가운데 주택공급에 적정한 토지를 조사해 정보를 제공하고, 토지 제공 중소기업에는 정책금융과 연구개발(R&D) 지원금 배정 등에서 여러 혜택을 줄 방침이다.
국토부는 또 전통시장과 구도심 등 상권 활성화가 필요한 지역에 도시재생 뉴딜사업을 적극 추진하되 임대료가 주변 시세보다 싼 공공임대상가와 창업공간을 도심형 소상공인(소호), 청년 창업가, 사회적기업 등에 집중 제공하기로 했다. 중기부는 이에 맞춰 청년 몰, 창업교육센터, 공동마케팅 지원 공간 등을 집중 배치하는 형태로 연계지원에 나선다. 또 모태펀드에 ‘도시재생계정’을 신설해 도시재생 지역에 입주한 벤처기업과 청년창업기업에 대한 투자 활성화를 유도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스마트시티 건설, 공간정보 활용, 자율주행차 운행 등 국토교통 분야 혁신기술의 사업화에도 두 부처가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국토부는 관련 분야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이 활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중기부는 금융 통로와 판로 개척을 집중 지원하는 방식이다.
국토부와 중기부는 일자리 연계형 지원주택, 도시재생, 국토교통 혁신기술의 스타트업 육성 등 협업과제를 세 분야로 나눠 각각 실무협의회를 구성하고 협의체 운영을 정례화하기로 했다. 홍종학 중기부 장관은 “이번 업무협약의 추진이 중소기업 재직라면 누구나 집 걱정 없이 근무할 수 있을 만큼 정주 여건이 개선되는 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김현미 국토부 장관도 “중소기업 일자리가 대기업 못지않은 양질의 일자리가 될 수 있도록 앞으로도 국토부 차원의 다양한 정책적 지원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밝혔다.
박순빈 선임기자
sbpark@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