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4월 기준으로 결혼·출산·육아로 경력이 단절된 여성은 185만명으로 한 해 전에 견줘 1만5천명 늘어났다. 경력단절여성이 증가한 것은 2014년 관련 통계 작성된 이후 처음이다. 특히 20, 30대 기혼여성 3명 중 1명이 경력단절여성으로 나타났다.
29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8년 상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중 경력단절여성 현황’을 보면, 올해 4월 기준 15~54살 기혼여성은 900만5천명이며, 실업자와 비경제활동인구를 합친 비취업여성은 345만7천명으로 조사됐다. 비취업여성 중 결혼, 임신·출산, 육아, 자녀교육, 가족돌봄 등의 이유로 직장을 그만 둔 경력단절여성은 184만7천명으로 지난해보다 0.8% 증가했다. 15~54살 기혼여성의 20.5%가 경력단절여성인 셈이다. 전체 기혼여성이 15만3천명 감소했는데도 경력단절여성은 1만5천명 증가한 탓에 기혼여성 대비 경력단절여성 비중은 0.5%포인트 늘어났다. 2014년 관련 통계가 작성된 이후 경력단절여성이 증가한 것은 올해가 처음이다.
연령대별로 보면 경력단절여성 2명 중 1명(48%)은 30대였다. 그 다음으로 40대(35.8%)가 많았고 50대(8.1%), 20대(7.5%) 순이었다. 기혼여성 가운데 경력단절여성 비율도 30대에서 가장 높았다. 전체 30대 기혼여성 269만명 중 88만6천명(33%)이 경력단절여성으로 집계됐다. 20대 경력단절여성 비율은 31%, 40대는 17%였다. 50대는 8.1%로 각각 조사됐다. 20, 30대에 일터를 떠났다가 40, 50대에 돌아갈 수 있는 셈이다.
비취업여성 2명 중 1명(53.4%)은 경력단절여성인데, 경력이 단절된 이유로는 결혼(63만4천명)이 가장 많았다. 이어 육아(61만9천명), 임신·출산(44만5천명), 가족돌봄(7만8천명), 자녀교육(7만1천명)이 뒤를 이었다. 육아와 결혼으로 일을 그만뒀다는 여성은 1년 전과 비교하면 3만3천명(5.6%), 1천명(0.2%) 증가했지만, 임신·출산(-9천명·-2%), 자녀교육(-6천명·-7.6%), 가족돌봄(-4천명·-4.5%) 등으로 경력이 단절된 여성의 수는 감소했다.
정은주 기자
eju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