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파나소닉, 중 CATL·BYD 등 1~3위
LG·삼성 증가율 상대적으로 낮아
LG·삼성 증가율 상대적으로 낮아
엘지(LG)화학과 삼성에스디아이(SDI)가 지난해 세계 전기차용 배터리 출하량 순위에서 4위와 6위에 올랐다. 파나소닉이 1위를 차지했고, 중국 컨템포러리암페렉스테크놀로지(CALT)와 비야디(BYD)가 2·3위였다.
4일 에너지업계 전문 시장조사업체 에스엔이(SNE)리서치 자료를 보면, 지난해 1~11월 세계 전기차에 출하된 배터리 총량은 76.9GWh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2.8% 증가했다. 일본 파나소닉이 1년 전보다 113.0% 늘어난 1만7606㎿h로 3년만에 1위를 탈환했다. 중국 CATL과 BYD는 각각 111.1%와 105.2% 증가한 1만6176㎿h와 9359㎿h로 뒤를 이었다.
엘지화학은 6183㎿h로 4위에 올랐으나 증가율은 42.2%에 그쳤다. 삼성에스디아이는 26.1% 늘어난 2731㎿h로, 전년도 5위에서 6위로 내려갔다. 출하량 상위 8개 업체 중 성장률이 100%를 넘지 못한 곳은 엘지화학과 삼성에스디아이 2곳 뿐이다.
에스엔이리서치 보고서는 “엘지화학은 주로 현대 코나 EV, 재규어 I-Pace, 르노 Zoe 등의 BEV 모델 판매 호조에 힘입어 출하 실적이 늘었다”며 “삼성에스디아이는 폭스바겐 e-골프, 스트리트스쿠터 워크 등 BEV와 PHEV 모델들의 판매가 증가한 것이 성장세로 이어졌다”고 말했다.
1~3위인 파나소닉과 CATL, BYD의 시장점유율 합계가 50%를 넘는 가운데, 엘지화학 시장점유율은 8.0%로 1년 전(9.8%)보다 1.8%포인트 떨어졌다. 삼성에스디아이도 같은 기간 점유율 4.9%에서 3.5%로 하락했다. 보고서는 “지난해 11월 중국 기업은 ‘톱 10’ 안에 무려 7개가 포함됐고, 일본 기업인 파나소닉과 AESC도 평균 이상의 성장률로 점유율을 높였다”며 “이런 추세가 지난해 12월에도 이어지면서 엘지화학과 삼성에스디아이에 대한 압박이 지속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최현준 기자 haojune@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
◎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
◎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